내림표

원래의 음에서 반음 내림
(에서 넘어옴)

내림표 또는 플랫(flat)은 음악기보법에서 음을 반음 내리는 것을 뜻하는 기호이며 로 표시한다. 올림표(♯)와 서로 반대되는 기호이다.

내림표 기호는 소문자 비(b)를 둥글게 쓴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올림표보다 먼저 나온 기호다. 고대에 한 키 내린 B음을 나타내기 위해 그렇게 표시한 것이다. 그러다 세월이 흘러 다른 위치의 음표에 붙어도 그 해당 원음을 한 키 내리는 기호가 되었다.

내림표
유니코드에서&#9838
다른
다른U+0062 b 로마자

예시

조표임시표로 쓰일 수 있다.[1] 예를 들어, 아래는 세 개의 내림표(내림마장조 또는 다단조를 나타냄)가 조표로 붙어있고 D♭ 음표에는 내림표가 임시표로 붙어있다.

12평균율에서 C♭음은 B음과, F♭은 E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다른 음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과 다르다.

조표

조표로 쓰일 때에는 음자리표의 오른쪽에 한 개 이상을 써서 조를 나타낸다.[2]

내림표를 조합하는 순서는 기본적으로 "B E A D G C F" 순이다.

조표로서 내림표가 쓰이면, 도중에 조성이 바뀌거나 제자리표(♮), 올림표(♯) 등 다른 변화표의 효력을 받는 경우가 아닌 이상 마디옥타브에 관계없이 효력이 계속 적용된다.

조표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B♭ E♭ A♭ D♭ G♭ C♭ F♭ 내림표가 1개인 장조 음계는 바장조다. 내림 조표의 모든 스케일에서 장음계의 으뜸음은 마지막 기호의 완전 4도 아래 혹은 완전 5도 위이며, 단음계의 으뜸음은 마지막 기호의 장3도 위이다.

내림표가 두 개 이상인 경우 장조의 으뜸음은 조표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기호의 음이다. 가령 4개의 내림표로 구성된 장조(B♭ E♭ A♭ D♭)일 경우 마지막에서 두 번째 플랫은 A♭로, 이는 A♭ 장조(즉, 내림가장조)를 나타낸다. 각각의 새로운 음계는 이전 음계보다 5도 아래(또는 4도 위)에서 시작된다.

장조내림표의 개수내림표가 붙는 음단조
다장조 (C 장조)0가단조 (A 단조)
바장조 (F 장조)1B라단조 (D 단조)
내림나장조 (B 장조)2B, E사단조 (G 단조)
내림마장조 (E 장조)3B, E, A다단조 (C 단조)
내림가장조 (A 장조)4B, E, A, D바단조 (F 단조)
내림라장조 (D 장조)5B, E, A, D, G내림나단조 (B 단조)
내림사장조 (G 장조)6B, E, A, D, G, C내림마단조 (E 단조)
내림다장조 (C 장조)7B, E, A, D, G, C, F내림가단조 (A 단조)

위의 조표의 조성 중에서 음이 조화롭게 겹치는 이명동조를 지닌 조성이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즉, 다음과 같다.

기준이명동조
장조내림표의 개수단조장조/단조
내림라장조5내림나단조올림다장조/올림가단조
내림사장조6내림마단조올림바장조/올림라단조
내림다장조7내림가단조나장조/올림사단조

단, 장조의 이명동조는 장조만이, 단조의 이명동조는 단조만이 해당된다. 예를들어 위의 내림표 5개 조표의 조성 중 내림라장조의 이명동조는 올림다장조만이 되고, 내림표 5개 조표의 조성 중 내림나단조의 이명동조는 올림가단조만이 된다.

그 외에 5도권 순환으로 봤을 때 이명동조를 고려해서 조표 형태로 사용 시 내림표 7개의 조성인 내림다장조와 내림가단조는 일반적으로 사용해오지 않았고 주로 표기가 보다 덜 복잡한 이명동조인 각각 나장조와 올림사단조를 써왔다. 다만,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에서와 다른 음률에서는 이와 예외가 될 수 있다.[출처 필요]

임시표

임시표로 쓰일 때에는 음표 머리의 왼쪽에 쓴다.

임시표로 쓰이면 그 마디 안의 같은 높이에서 내림표 이후의 같은 옥타브의 해당 음에 내림표가 적용된다. 옥타브 위아래의 같은 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읽을 때는 조표나 다른 기호 등에 상관없이 무조건 기본 음(원음)을 기준으로 읽는다.

같은 보표 내 같은 마디 내 같은 옥타브에서 임시표로 쓰인 내림표의 효력을 없애려면 제자리표(♮), 올림표(♯) 등의 다른 변화표를 사용한다.

관련 기호

겹내림표 혹은 더블 플랫(double flat)은 내림표(♭) 2배의 효력을 지닌 기호이다. 원래의 음에서 온음(전음)을, 혹은 내림표의 음에서 다시 한 번 반음을 내려준다. 로 표시한다.

그 외에 미분음 단위의 기호도 있다. 미분음 음악에서는 반음보다 좁은 간격 단위의 음을 사용한다.

반내림표 또는 하프 플랫(Half flat)은 내림표(♭) 0.5배의 효력을 지닌 기호이다. 또는 𝄳로 표기한다. 원음에서 반음의 절반(반의 반음, 사분음)만큼 내린다.

3/2 내림표(sharp-and-a-half) 또는 세반내림표내림표(♭) 1.5배의 효력을 지닌 기호이다. 로 표기한다. 원음으로 가서 반음+반의 반음, 즉, 반음의 3/2을 내린다.

극히 드물지만 세겹내림표 혹은 트리플 플랫(triple flat)는 내림표(♭) 3배의 효력을 지닌 기호이다. 원음에서 온음반음을, 혹은 앞서 말한 겹내림표의 음에서 다시 한 번 반음을 내려주는 기호다. 로 표시한다.[3] 물론 일반적인 음악엔 거의 없다. 특히 조표 자리에 전체적으로 내림표(♯) 대략 총 4개 이하인 조성에서 사용될 필요성은 매우 적겠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는 더 나아가면 내림표(♭) 4배 이상의 효력을 지닌 기호도 간혹 고려할 가능성은 있겠다. 가령 내림표(♭) 4배의 효력을 지닐 경우엔 네겹내림표 ( ) 혹은 쿼드러플 플랫(quadruple flat)이 될 것이며, 원음으로 가서 두 온음을, 혹은 앞서 말한 세겹내림표의 음서 다시 반음을 더 내려주는 기호가 되겠다.[4]

유니코드

컴퓨터에서 내림표 및 내림표의 여러 변형을 표현하는 문자 코드는 다음과 같다. 'B'(로마자 비)의 소문자인 'b'는 내림표와 비슷하지만 다른 것이다.

표시한국어 이름유니코드 이름유니코드문자 참조UTF-8 URL 인코딩설명
10진16진
내림표MUSIC FLAT SIGNU+266D♭♭%E2%99%AD 
𝄫겹내림표MUSICAL SYMBOL DOUBLE FLATU+1D12B𝄫𝄫%F0%9D%84%AB표시되지 않으면 그림 참고.
𝄬 MUSICAL SYMBOL FLAT UPU+1D12C𝄬𝄬%F0%9D%84%AC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MUSICAL SYMBOL FLAT DOWNU+1D12D𝄭𝄭%F0%9D%84%AD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 MUSICAL SYMBOL QUARTER TONE FLATU+1D133𝄳𝄳%F0%9D%84%B3표시되지 않으면 링크 참고.
위 표의 '표시' 항목은 컴퓨터 환경에 따라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10진 수치 문자 참조를 제외한 모든 코드는 16진 표기이다.

다른 표기법과 고려사항

  • 기호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 혹은 특정 텍스트 표기 등에선 겹내림표를 ♭♭나 bb 등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세겹내림표도 ♭♭♭ 등으로 표기할 수 있다.[출처 필요]
  • 클래식 시절에 한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겹내림표가 붙은 음을 내림표의 음으로 올릴 경우엔 ♮♭ 혹은 ♭♮처럼 내림표 기호 (♭) 옆에 제자리표 (♮)를 쓰는 관습이 있었다. 다만, 대략 1800년대 이후로는 가독성과 작성시간 등을 고려하여 생략할 수도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 세겹내림표 이상의 기호를 무효화 시에도 이에 언급한 제자리표 병기와 비슷한 원리를 고려할 가능성은 있겠다.[4] 그리고, ♮♭는 올림표에서 내림표로 바꿀 때 쓰이기도 한다.[출처 필요]
  • 확장된 순정률을 표기하기 위해 작곡가 벤 존스턴은 70.6센트 낮음을 나타낼 때 내림표를 사용했다.[5]
  • 매우 드물게 사용되긴 하지만 이론적으로는 겹내림표조표 자리에도 들어갈 수 있다.[출처 필요]
    • 존 스텀프의 Prelude and the Last Hope에서도 도중에 조표 자리에 겹내림표가 쓰인 예가 있다.[6]
  • 이론적으로 보면 내림표 관련 기호들은 미분음 단위에 무관히 무수히 등장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도 다른 고려 사항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명동조를 고려했을 때 각 음률에서의 가장 간단하거나 적절한 표기도 있다. 참고로 이명동음이 있는 평균율에선 이명동조가 존재하지만, 순정률에선 하나도 없다.[출처 필요]
  • 평균율이 아닌 다른 음률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명동음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 과 A♭이 서로 구별된다.
  • 평균율에 따라 내림표가 원음을 몇 스텝만큼 낮추는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12, 19 평균율에선 내림표가 제일 좁은 단위로 원음을 한 스텝만 낮추지만 24, 31 평균율에선 미분음조 표기법의 반내림표가 제일 좁은 단위가 되므로 내림표가 원음을 두 스텝 낮춘다. 22평균율처럼 표기법에 따라 달라지는 평균율도 있다.
  • 12평균율에서 이명동조를 고려해서 조성 표기를 보다 간략히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내림표 7개 조성 대신 표기가 그나마 덜 복잡한 올림표 5개 조성으로 대체해왔다. 다만, 19평균율, 31평균율처럼 이명동음 관계가 12평균율과 다른 음률에서는 내림 7개 조성을 아예 그대로 사용해야만 할 수 있다.
  • 조표내림표가 적용된 음에 임시표제자리표를 붙였다가 그 마디 내 같은 높이에서 조표와 일치하는 임시표로 내림표를 붙였을 땐 몇몇은 "제자리표의 효력이 없어졌다" 라는 해석 보다는 "다시 본래의 음(조표의 음)으로 되돌아갔다" 라는 해석을 갖기도 한다. 원래는 그 제자리표의 효력이 없어지는 것도 이론적으로는 맞긴 하지만 말이다.[출처 필요]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