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군 을

김제군 을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전라북도 김제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김제군 을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63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김제군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제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제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김제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

선거정당의원
1948년조선민족청년단홍희종
1950년무소속최윤호
1952년대한청년단최주일
1954년무소속윤제술
1958년민주당
1960년민주당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김제군 을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홍희종조선민족청년단13,239표
39.87%
당선
최충호대한독립촉성국민회7,563표
22.77%
이근호기독교도연맹6,044표
18.20%
최주일대동청년단4,822표
14.52%
홍성호대한독립촉성국민회1,534표
4.62%
이원익조선민족청년단0표
0%
이철익무소속0표
0%
합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김제군 을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최윤호무소속5,485표
16.17%
당선
강원용무소속4,873표
14.37%
김병기무소속4,211표
12.42%
오해건무소속4,010표
11.82%
최광식무소속2,712표
7.99%
류동열무소속2,509표
7.40%
곽남규무소속2,070표
6.10%
정락모무소속1,634표
4.81%
강창경무소속1,373표
4.04%
이완익무소속1,366표
4.02%
조인양민주국민당1,248표
3.68%
곽탁무소속1,069표
3.15%
이규창무소속901표
2.65%
박정식무소속443표
1.30%
합계33,904표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최윤호 의원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 195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대한청년단 최주일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김제군 을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윤제술무소속8,028표
20.81%
당선
강원용무소속7,756표
20.11%
최주일자유당6,907표
17.90%
이동원무소속6,541표
16.96%
최규연무소속5,374표
13.93%
곽탁무소속2,473표
6.41%
정갑용무소속1,011표
2.62%
최장열무소속476표
1.23%
합계38,566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김제군 을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윤제술민주당22,144표
56.50%
당선
최광식자유당17,048표
43.49%
합계39,192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김제군 을
후보정당득표득표율당락비고
윤제술민주당24,444표
62.67%
당선
유홍철무소속14,557표
37.32%
합계39,001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