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기사

다음은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및 편성 목록이다.

2019년, 제1야전군제3야전군지상작전사령부로 통합되었다.

2023년 12월 기준 대한민국 육군은 13개 상비 보병사단, 3개 기계화/기동사단, 1개 신속대응사단, 12개 지역방위사단, 5개 동원사단 등 총 34개 사단 전력과 6개 군단 전력을 갖추고 있다.

참모총장

비서실[1]
공보정훈실[1]
감찰실[1]
법무실[1]
군사경찰실[1]
시설실[1]
의무실[1]
군종실[2]
육군개혁실[1]

참모차장

기획관리참모부[1]
인사참모부[1]
정보작전지원참모부[1]
군수참모부[1]
정보화기획실[1]
동원참모부[1]

직할부대

예하부대

직할부대
예하부대
수도군단 "충의"
제1군단 "광개토"
제2군단 "쌍용"
제3군단 "산악"
제5군단 "승진"
제7기동군단 "북진선봉"
직할부대
  • 본부근무대
  • 제12정보통신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제19화생방대대
예하부대

해체된 부대

다음은 다른 부대에 병합되거나 해체되어 사라진 역사 상의 대한민국 육군의 부대 목록이다.

  • 야전군
  • 사령부
    • 백야전사령부, 쥐잡기 작전을 위한 임시 사령부. 작전 종료 이후 제2군단으로 재편성.
    • 시흥지구 전투 사령부, 북한군의 한강 도하를 막기 위한 임시 사령부. 작전 종료 이후 제1군단으로 재편성.
    • 서울올림픽 지원 사령부, 서울올림픽을 지원하기 위한 임시 사령부. 작전 종료 이후 해체됨.
    • 육군전투사령부; 1951년 5월 1일 ~ 1981년 ?월 ?일, 육군교육사령부와 통합되어 해체됨.
    • 군수기지사령부; 1960년 1월 15일 ~ 1970년 12월 15일, 제2군관구사령부로 재편성.
    • 울산경비사령부; 1968년 ?월 ?일 ~ 1982년 ?월 ?일, 제53보병사단 제127보병연대로 재편성.
    • 동해안경비사령부; 1969년 1월 18일 ~ 1982년 8월 15일, 제7군단으로 재편성.
    • 경인지역방어사령부; 1974년 3월 1일 ~ 1975년 8월 1일, 수도군단으로 재편성.
    • 방공포병사령부; 1991년 7월 1일 ~ 2013년 6월 11일,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로 재편성.
    • 육군유도탄사령부; 2006년 9월 22일 ~ 2014년 4월 1일, 육군미사일사령부로 재편성.
    • 육군미사일사령부; 2014년 4월 1일 ~ 2022년 4월 1일, 육군미사일전략사령부로 재편성.
    • 제2군수지원사령부; 1971년 1월 1일 ~ 2018년 12월 31일, 제5군수지원여단으로 재편성.
    • 제3군수지원사령부; 1973년 3월 1일 ~ 2018년 12월 31일, 제1군수지원여단으로 재편성.
    • 제1군관구사령부; 1951년 5월 1일 ~ 1981년 ?월 ?일, 육군교육사령부와 통합되어 해체됨.
    • 제2군관구사령부; 1954년 12월 22일 ~ 1960년 1월 4일, 1974년 4월 1일 ~ 1982년 10월 15일, 육군군수사령부로 재편성.
    • 제3군관구사령부; 1954년 12월 1일 ~ 1982년 ?월 ?일, 해체됨.
    • 제5군관구사령부; 19??년 ?월 ?일 ~ 1982년 ?월 ?일, 제5군수지원사령부로 재편성.
    • 제6군관구사령부; 1954년 ?월 ?일 ~ 1972년 2월 28일,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재편성.
  • 군단
    • 제6군단 "진군"; 1954년 5월 1일 ~ 2022년 11월 30일, 해체됨.
    • 제8군단 "동해충용"; 1987년 4월 1일 ~ 2023년 6월 30일, 해체됨.
    • 제9군단 "충무"; 1987년 4월 1일 ~ 2007년 10월 31일, 해체됨.
    • 제11군단 "충렬"; 제9군단과 같음.
  • 사단
  • 여단
    • 제1화학전방호여단; 2002년 2월 1일, 화생방방호사령부로 개편됨.
    • 제11민사여단; 이라크 재건 임무 종료 후 해산.
    • 제12민사여단; 제11민사여단과 같음.
    • 제35경비여단; 1984년 1월 1일 ~ 1991년 3월 1일. 제35특공대대로 재편성됨.
    • 제205특공여단 "백호"; 2008년 12월 1일 해체.
    • 제30경비단; 1996년, 대대로 축소 및 제1경비단에 예속됨.
    • 제33경비단; 제30경비단과 같음.
    • 제100건설공병단 "다산"; 2003년 2월 6일 ~ 2007년 12월
    • 제924의료지원단 "동의"; 2001년 12월 18일 ~ 2007년 12월 23일
    • 육군중앙경리단; 1957년 ~ 2012년 2월,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
    • 필리핀 합동지원단 "아라우"; 2013년 12월 27일 ~ 2014년 12월 23일
  • 연대
    • 제4보병연대, 여수·순천 사건의 영향으로 제20연대로 개명됨.
    • 제6보병연대, 여수·순천 사건 이후, 다수의 반란으로 제22연대로 개명됨.
    • 제14보병연대, 여수·순천 사건에서 진압되어 해체, 그리고 영구결번 처리.
    • 제706특공연대 "비호"; 2022년 8월 26일 해체됨.
    • 제707특공연대 "독수리"; 1988년 6월 1일 ~ 1994년, 제7강습대대로 재편성됨.
  • 대대
  • 그 외

참고 사항

4연대 예하 대대를 모태로 창설한 14연대에서 여수·순천 사건이 일어났고, 이 사건에 따른 대규모 숙군 작업 때 4연대에 좌익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1949년에 4여단 예하의 8연대의 월북 사건이 발생한 후로는, "4"는 부대 명칭에서 제외되었다. 또, 10과 18도 욕설을 연상시켜 사용하지 않는 숫자가 되었다.[3]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