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군

발해군(勃海郡, 渤海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는 발해국(勃海國, 渤海國)이 설치됐다. 군명의 유래는 안사고에 따르면 보하이 만(발해만)의 가에 있어서 그 이름을 따온 것이라 한다. 표기는 설치된 전한 때부터 '勃'과 '渤'이 혼용되었다. 지리지가 있는 이십사사의 지리지에서는 북위까지 勃을 썼고 수·당대에는 渤이었다.

전한

고제가 설치했으며, 유주자사부에 속했다. 그러나 문제 2년(기원전 178년) 발해군과 조나라 내사 사이에 있는 하간국이 조나라에서 분할됐는데 발해군이 당시 있었다면 조나라의 월경지가 되므로 주진학은 고제가 설치했다는 한서의 주석을 반박하고, 원래 발해군은 하간국의 일부였다가 하간국이 폐지된 후 하간군에서 분할된 것으로 추정했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5만 6377호, 90만 5119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순서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의 치소이다.[2] 현재의 창저우 시 동부와 랑팡 시 중부와 남부, 그리고 헝수이 시 푸청 현빈저우 시 우디 현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부양현浮陽縣창저우시 남동
양신현陽信縣빈저우시 우디 현 북동
동광현東光縣창저우시 둥광 현호소정(胡蘇亭)이 있었다.
부성현阜城縣헝수이시 푸청 현
천동현千童縣창저우시 난피 현 남동
중합현重合縣더저우시 라오링 시
남피현南皮縣창저우시 난피 현 북동
정후국定侯國더저우시 라오링 시 북동제효왕의 아들 유월의 후국이다.
장무현章武縣창저우시 황화 시 북서두광국의 후국이다. 염관이 있었다.
중읍현中邑縣창저우시 북동
고성현高成縣창저우시 옌산 현 북동도위의 치소 지역이다.
고락현高樂縣창저우시 난피 현 남동제효왕의 아들 고락강후의 후국이다.
삼호후국參戶侯國창저우시 칭 현 남서하간헌왕의 아들 유면의 후국이다.
성평현成平縣창저우시 보터우 시호타하(虖池河)가 있는데 민간에서는 도해하(徒駭河)라고 한다.
유후국柳侯國창저우시 옌산 현 북동제효왕의 아들 유양이의 후국이다.
임악후국臨樂侯國창저우시 난피 현 남동중산정왕의 아들 유광의 후국이다.
동평서현東平舒縣랑팡시 다청 현대군에도 평서현이 있어서 '동'이 덧붙었다.
중평현重平縣더저우시 닝진 현해연의 어머니 저의 후국이다.
안차현安次縣랑팡시 북서
조시후국脩市侯國헝수이지 징 현 북서
문안현文安縣랑팡시 원안 현
경성후국景成侯國창저우시 보터우 시하간헌왕의 아들 유옹의 후국이다.
속주현束州縣창저우시 허젠 시 북동
건성현建成縣창저우시 보터우 시 북
장향후국章鄕侯國더저우시 라오링 시 북서종조와 사은의 후국이다.
포령후국蒲領侯國창저우시 푸청 현 북동광천혜왕의 아들 유가, 청하강왕의 아들 유록의 후국이다.

[2][3]

신나라

군의 이름을 영하(迎河)로 바꾸고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부양(浮陽)부성(浮城)
동광(東光)오성(吾城)
남피(南皮)영하정(迎河亭)
장무(章武)환장(桓章)
중읍(中邑)험음(檢陰)
고악(高樂)위향(爲鄕)
성평(成平)택정(澤亭)
임악(臨樂)악정(樂亭)
조시(脩市)거녕(居寧)

후한

기주자사부로 이관되었고 하간군의 군역확장, 안평국의 신설로 인해 8현으로 군역이 축소되었다. 32,389호 1,106,500명이 살았다.[4] 후한말원소가 이지역에 태수로 있으면서 세력을 다졌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남피현南皮縣창저우시 난피 현 북동
고성후국高城候國창저우시 옌산 현 북동
중합후국重合候國더저우시 라오링 시
부양후국浮陽候國창저우시 남동
동광현東光縣창저우시 둥광 현
장무현章武縣창저우시 황화 시 북서
양신현陽新縣빈저우 시 우디 현 북동122년(연광 원년)에 복구되었다.
수현脩縣헝수이 시 징 현 남본래 신도군의 속현이었으나 후한대에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조위

원소사후 원상을 비롯한 원소의 아들들이 세력갈등을 일으키면서 내전을 일으켰다. 조조는 이 내란을 틈타 기주를 점령했는데, 발해군은 이시기에 조위의 치하로 들어가게 되었다. 양신현이 본군에서 낙릉군 이관되었고 안평국에서 본군으로 요안현이 이관되었다.

현명한자비고
남피현南皮縣
부양현浮陽縣
장무현章武縣
고성현高城縣
중합현重合縣
동광현東光縣
요안현饒安縣
광천현廣川縣
수현蓚縣

서진

안평국에서 부성현이 이관되었다. 10현 40,000호를 거느렸다.[5]

현명한자비고
남피현南皮縣
동광현東光縣
부양현浮陽縣
요안현饒安縣
고성현高城縣
중합현重合縣
동안릉현東安陵縣
수현蓚縣
광천현廣川縣후상(候相)을 두었다.
부성현阜城縣

북조

석륵이 하북을 점령하면서 북방민족의 치하로 들어갔으며 후조전연전진후연의 지배하에 있었다. 북위 도무제가 후연을 멸망시키면서 북위의 치하로 들어왔다. 북위 태무제는 발해군을 창수군(滄水郡)으로 개명했다. 그리고 북위 효문제487년(태화 11년)에 북부지역인 부양현, 고성현, 요안현일대에 부양군을 신설했고 497년(태화 21년)에 원래이름으로 되돌렸다. 북위대에도 기주에 소속되어있었으며 4현 37,972호 140,482명을 거느렸다.[6] 북위멸망이후 동위, 북제, 북주순으로 소속이 바뀌었다.

현명한자대략적위치비고
남피현南皮縣군의 치소가 있었다.
동광현東光縣
수현脩縣헝수이 시 징 현 동수현(蓚縣)에서 수현(脩縣)에서 개명되었다. 동중서의 사당이 있다.
안릉현安陵縣창저우 시 우차오 현

수나라는부양군과 낙릉군을 통폐합했고 군명을 바꿨다.(勃海郡 → 渤海郡) 586년(개황 6년)에 수나라가 주현제를 실시했을 때 발해군지역에 체주(棣州)를 설치했으나 606년(대업2년) 창주(滄州)로 개명되었다. 10현 122,909호를 거느렸다.[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양신현陽信縣빈저우 시 양신 현 약간 서남군의 치소를 두었다.
낙릉현樂陵縣더저우 시 러링 시 동낙릉군에 소속되어있었다. 596년(개황 16년) 격진현(鬲津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본현으로 통폐합했다.
상하현滳河縣지난 시 상허 현596년 설치되었다. 관관(關官)이 있다.
염차현厭次縣빈저우 시 후이민 현 동남북제에서 폐지된 것을 596년 복구했다.
포태현蒲台縣빈저우 시596년 설치되었다.
요안현饒安縣더저우 시 러링 시 북서
무체현無棣縣더저우 시 칭윈 현 북586년 설치되었다.
염산현鹽山縣창저우시 옌산 현 북동 구성진(舊城鎭)596년 고성현에서 부수현(浮水縣)을 분리신설하고 598년(개황 18년)에 고성현을 염산현으로 개명했다. 대업초에 부수현을 통폐합했다. 염산(鹽山)과 협산(峽山)이 있다.
남피현南皮縣창저우 시 난피 현
청지현淸池縣창저우 시 동남598년 부양현을 청지현으로 개명했다.

태수

전한

  • 공수(? ~ 기원전 66년)
  • (? ~ 기원전 57년)

후한

조위

  • 왕홍직(王弘直, 불명)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