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계

(분별에서 넘어옴)

변계(遍計)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두루 ~라고 헤아린다', '널리 ~라고 헤아린다', '일반적으로 또는 보편적으로 ~라고 헤아린다'이다.[1] '헤아린다'라는 뜻의 한자어 (計)는 전통적인 용어인 계탁(計度) 또는 계탁분별(計度分別)의 줄임말이다. 계탁분별을 줄여서 그냥 분별(分別)이라고도 한다.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을 순한글로는 일반적으로 헤아림이라고 한다.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은 특히 제6의식의 작용을 말하는 것으로, 사물에 대해 생각[量]하고 사유(思惟: 특히 심사숙고)하고 구별[分別]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2][3][4] (이하 '계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을 가리키는 낱말로서 '계탁분별'을 사용한다.)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르면 계탁분별본질적 성질본질제6의식상응하는 산혜(散慧) 즉 산란된 지혜이다. 그리고 산란된 지혜[慧]는 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또는 선정에 든 상태일 때 나타나는 '바른 지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지혜를 말한다.[5][6]무루혜가 아닌 유루지혜문혜 · 사혜 · 수혜3혜 또는 여기에 생득혜를 더한 4혜를 말한다.

계탁분별의 정의인 '생각하고 사유하고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 그 자체에는 본래 부정적인 의미가 없지만, 선정[定]에 의해 나타나는 바른 지혜, 즉 무루혜가 아니라는 점에서 불교 일반에서는 계탁분별이라는 용어를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 즉 계(計) · 계탁 · 분별 · 헤아림은 항상 부정적인 의미인 그릇된 헤아림의 뜻으로 사용된다.

즉, 변계(遍計)라는 낱말의 문맥에서의 계탁분별미혹한 상태의 제6의식, 즉 깨닫지 못한 상태의 제6의식, 즉 아직 전의(轉依: 識이 智로 바뀌는 질적 변형)를 획득하지 못한 제6의식을 토대로 무상한 존재인 사람[人: 즉 5온의 가화합]과 (法)에 대해 실아(實我)가 존재하고 실법(實法)이 존재한다라고 두루[遍] 헤아리는 것, 즉 자신과 주위의 모든 사물에 대해 보편적으로 언제나 그렇게 생각하고 믿으며 또한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바탕으로 대상을 구별하고 추론하고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7][8] 달리 말하면, 제6의식이 자신의 인식대상일체만법에 대해 보편적으로 언제나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의 2가지 집착[二執]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9][10] 이런 뜻에서 계(計) · 계탁 · 계탁분별 · 분별 · 헤아림을 보통 불교 일반에서는 허망한 분별 또는 그릇된 분별이라고 한다.[10][11][12][13]

한편,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 따르면, 제7말나식계탁을 하지만, 두루 즉 '주위의 일체의 모든 것'에 대해 보편적으로 항상 계탁하지는 않는다.[7] 대신, 제7말나식은 '아뢰야식견분(見分)'을 자신의 실아라고 여기는 근본 무명을 비롯한 4번뇌를 항상 일으킨다.[14][15]

변계(遍計)라는 낱말이 사용된 불교 용어로는,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 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 · 능변계(能遍計) · 소변계(所遍計) 등이 있다.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