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브라질의 최상위 남자 축구 리그
(브라질 세리에 A에서 넘어옴)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포르투갈어: Campeonato Brasileiro Série A)는 전국 규모의 브라질 축구 1부 리그 대회이다. 현재 20개 팀이 참가하고 있으며 매 시즌 종료 후 하위 네 팀은 세리이 B로 강등되고 세리이 B에서 네 팀이 승격한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대륙CONMEBOL
국가브라질의 기 브라질
리그 등급1
참가 구단 수20
하위 리그세리이 B
대륙 대회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국내 대회코파 두 브라지우
수페르코파 두 브라지우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역사
설립1959년
최다 우승파우메이라스 (12회)
최근 우승파우메이라스 (2023)
최다 출전자파비우 (666)
최다 득점자호베르투 지나미치 (190)
최근 시즌 2024 시즌

큰 국토의 면적과 역사적인 이유로 브라질의 전국 규모 대회는 역사가 그리 길지 않다. 군사 정권의 지원을 받아 1971년에야 전국 규모의 리그가 시작되었는데, 항공 운송의 변화와 발전 덕분에 가능하게 되었다. 이 대회(Campeonato Brasileiro)가 시작되기 전에는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캄페오나투 카리오카와 같은 각 주별 리그가 최상위 리그였다.

구성 및 규칙

2003년부터 세리이 A는 홈과 원정에서 각각 한 번씩 경기를 치르는 라운드 방식의 토너먼트를 채택하여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최종 결승전이 없어 진행방식에 대해 논쟁의 여지가 있기도 하다. 2003년 이전까지 브라질 리그는 전통적으로 유럽과 같은 정규시즌 승점제보다 플레이오프 형식의 대회를 선호하여 토너먼트 방식으로 리그를 진행해 왔다. (정규 시즌의 상위 8개 팀이 단일 토너먼트를 치르는 형식)

브라질 축구 리그는 시즌마다 참가 팀이 변화했다: 1979년 (94개 팀), 1986년 (80개 팀), 2000년 (116개 팀)

파우메이라스를 제외한 상파울루의 빅 클럽들은 모두 1979년 리그 출전을 포기한 적이 있다. 당시의 이상한 진출 시스템에 대한 항의 때문이었다. 지난 대회 결승 진출자인 파우메이라스와 구아라니는 부전승으로 최종단계에 진출하였는데, 이는 당시 제도를 이용해 특권을 받은 것이었다. 구아라니는 단지 세 경기만 하고도 96개 참가팀 가운데 상위 12팀 안에 들었고, 파우메이라스는 다섯 경기만 하고 리그 3위를 차지했었기 때문이다.

1984년에 상파울루의 작은 클럽인 아틀레치쿠 주벤투스는 세리이 A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 해의 참가팀들은 토너먼트 도중에 세리이 B에서 승격하거나 세리이 B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주벤투스는 이러한 규정 때문에 토너먼트 도중에 강등되었지만, 결국 세리이 B의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벤투스는 다음해 세리이 A에 참가하지 못했는데 상파울루 주(州) 리그를 통과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99년에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이 도입한 것과 유사한 강등시스템(평균률)을 적용하였다. 1단계에서 최저 점수를 기록한 두 팀의 지난 두 시즌을 비교하여 안 좋은 기록을 가진 팀이 강등되는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단 한 시즌 만에 사라지고 말았다.

2005년에는 22개 팀이 참가하여 홈과 원정에서 한 경기씩 총 42라운드의 경기를 진행하게 되었다. 우승 팀과 준우승 팀은 자동적으로 이듬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3위와 4위 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예선에 진출한다. 1위 팀과 5~11위 팀들은 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진출하고 있다. 2005년 대회 가운데 11경기는 브라질 축구 경기에 관련된 스캔들로 인하여 무효처리되었는데, 이로 인해 재경기를 치러야만 했다.

2006년 시즌부터 참가팀이 20개로 감소하였다. 또한 외국인 선수의 보유 한도를 정하였는데, 한 경기에서 한 팀의 외국인 선수는 선발 출전 선수와 대기 선수를 포함하여 세 명을 넘으면 안된다는 규정이었다.

2023년 세리이 A 참가팀


연고지경기장수용인원감독
그레미우포르투알레그리아레나 두 그레미우55,662
바스쿠 다 가마리우데자네이루상자누아리우 경기장21,880명
바이아사우바도르아레나 폰치 노바48,747
보타포구리오데자네이루주앙 아발란제 올림픽 스타디움46,831
비토리아사우바도르바하당35,632
산투스산투스빌라 베우미르16,068
상파울루상파울루모룸비 경기장67,053
샤페코엔시샤페코아레나 콘다22,600
스포르트 헤시피헤시피일랴 두 헤치루35,000
아바이플로리아노폴리스이스타지우 다 헤사카다17,800
아틀레치쿠 고이아니엔시고이아니아올림피쿠 페드루 루도비쿠13,500
아틀레치쿠 미네이루벨루오리존치이스타지우 인지펜덴시아23,018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쿠리치바아레나 다 바이샤다42,372
코린치앙스상파울루아레나 코린치앙스49,025
코리치바쿠리치바쿠투 페헤이라45,563
크루제이루벨루오리존치미네이랑61,846
플라멩구리우데자네이루루수 브라실레이루20,500
플루미넨시리우데자네이루줄리치 쿠치뉴13,544
파우메이라스상파울루알리안츠 파르키43,713
폰치 프레타캄피나스모이세스 루카렐리19,722

역대 우승 팀

연도별 우승 팀

시즌우승준우승참가팀
타사 브라질 (1959 ~ 1968)
1959바이아산투스14
1960파우메이라스포르탈레자
1961산투스바이아
1962산투스보타포구
1963산투스바이아
1964산투스플라멩구
1965산투스바스쿠 다 가마
1966크루제이루산투스
1967파우메이라스나우치쿠
1968보타포구포르탈레자
토르네이우 호베르투 고메스 페드로사 (1967 ~ 1970)
1967파우메이라스인테르나시오나우
1968산투스인테르나시오나우
1969파우메이라스크루제이루
1970플루미넨시파우메이라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1971 ~ )
1971아틀레치쿠 미네이루상파울루20
1972파우메이라스보타포구26
1973파우메이라스상파울루40
1974바스쿠 다 가마크루제이루
1975인테르나시오나우크루제이루42
1976인테르나시오나우코린치앙스54
1977상파울루아틀레치쿠 미네이루62
1978구아라니파우메이라스74
1979인테르나시오나우바스쿠 다 가마94
1980플라멩구아틀레치쿠 미네이루44
1981그레미우상파울루
1982플라멩구그레미우
1983플라멩구산투스
1984플루미넨시바스쿠 다 가마41
1985코리치바방구44
1986상파울루구아라니80
1987스포르트구아라니32
1988바이아인테르나시오나우24
1989바스쿠 다 가마상파울루22
1990코린치앙스상파울루20
1991상파울루브라간치누
1992플라멩구보타포구
1993파우메이라스비토리아32
1994파우메이라스코린치앙스24
1995보타포구산투스
1996그레미우포르투게자
1997바스쿠 다 가마파우메이라스26
1998코린치앙스크루제이루24
1999코린치앙스아틀레치쿠 미네이루22
2000[1]바스쿠 다 가마상카에타누116
2001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상카에타누28
2002산투스코린치앙스26
2003크루제이루산투스24
2004산투스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2005코린치앙스인테르나시오나우22
2006상파울루인테르나시오나우20
2007상파울루산투스
2008상파울루그레미우
2009플라멩구인테르나시오나우
2010플루미넨시크루제이루
2011코린치앙스크루제이루
2012플루미넨시아틀레치쿠 미네이루
2013크루제이루그레미우
2014크루제이루상파울루
2015코린치앙스아틀레치쿠 미네이루
2016SE 파우메이라스산투스 FC
2017코린치앙스

팀별 우승 횟수

우승준우승
파우메이라스103
산투스88
코린치앙스73
상파울루66
플라멩구62
크루제이루45
바스쿠 다 가마44
플루미넨시40
인테르나시오나우36
보타포구23
그레미우23
바이아22
아틀레치쿠 미네이루15
구아라니12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11
스포르트 헤시피10
코리치바10

주별 우승 횟수

우승준우승
상파울루주3126
리우데자네이루주1610
미나스제라이스주510
히우그란지두술주59
바이아주23
파라나 주21
페르남부쿠주11
세아라주02

같이 보기

참고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