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예사의 종론

삼예사의 종론(-寺-宗論, 삼예의 종론, 삼예종론)은 8세기 말의 티베트 삼예사를 무대로 이루어진,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 사이의 종교 논쟁이다. 이 논쟁의 결과, 인도 불교가 승리를 거두어, 이후 티베트 불교의 방향성을 결정지었다고 할 수 있다.

개요

티베트 사료에서는, 삼예사를 무대로 찬포(=티베트왕)의 앞에서 논쟁하여 인도측이 승리를 거두었다고 되어 있지만, 중국 사료에서는, 서한에 따른 질의응답이 1년 이상 이어져, 중국측이 승리한 것으로 되어 있다.

경위

마하연의 도래

787년, 티베트의 토번이 돈황을 점령한 것에 따라, 마하연 선사(禪師)가 티베트로 연행되었다. 792년, 마하연은 치쏭 데쩬 왕의 칙명에 따라, 티베트 땅에서의 선교를 허가받았다. 그의 활동은 광범위한 지지를 획득해 켁 린포체 같은 승통이 된 제자를 얻거나, 황후나 대신(大臣) 부인들의 신도도 획득해, 그녀들은 출가할 정도의 상황에 이르렀다.

종론의 서전

옛 인도 승도는, 마하연의 활동에 이의를 제기해, 마하연측에서의 요구도 있어서, 종교 토론이 개최되게 되었다. 이 때의 토론은, 여러 차례에 이르렀지만 마하연측의 승리로 끝났다. 그 뒤에도, 인도승의 중상모략이나 대신(大臣)과 연휴한 획책은 이어졌고, 그에 대한 마하연의 문제(門弟)들의 항의 활동도 활발히 전개되었다. 결과, 794년에 마하연의 활동을 공인으로 하는 칙명이 발령되었다.

까말라실라의 등장

열세에 서게 된 인도승이, 인도에서 까말라실라를 초빙했다. 이후, 논쟁의 주체는 까말라실라와 마하연의 사이로 이행되었다. 최종적으로 까말라실라가 승리한 것에 따라, 797년 경에는 마하연은 돈황으로 추방당했다고 한다. 이후, 인도 불교가 티베트의 불교의 정통으로 인정받아, 그 후의 티베트 불교의 흐름이 결정지어졌다, 라고 한다.

참고 문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