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호납줄갱이

서호납줄갱이(Acheilognathus hondae)는 잉어과 납지리속에 속하는 민물고기이다. 대한민국 수원시 권선구 서호에만 서식하였으나 현재 절멸하였다.[1]

서호납줄갱이

생물 분류ℹ️
계:동물계
문:척삭동물문
강:조기어강
목:잉어목
과:잉어과
속:납지리속
종:서호납줄갱이
학명
Acheilognathus hondae
Jordan & Metz, 1913

학명이명
  • Pseudoperilampus hondae (Jordan & Metz, 1913)
  • Rhodeus hondae (Jordan & Metz, 1913)

1911년 혼다 고노스케(本田幸介)가 서호에서 몸길이가 5.1cm인 1개체를 채집하여, 이를 미국의 학자 데이비드 스타 조던(David Starr Jordan)과 찰스 윌리엄 메츠(Charles Wiliam Metz)가 2년 뒤에 신종으로 발표하였다.[2][3] 이후 1926년 일본의 박물학자 모리 다메조(森爲三)가 4.8cm, 5.4cm의 2개체를 채집하여 1935년 표본으로 공개하였으며, 1945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의 강수원 교수가 1개체를 발견한 뒤 더 이상 출현하지 않고 있다.[2][3] 유일한 표본은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필드 자연사 박물관에 있다.[4]

2007년에 서호납줄갱이를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서 발견하였다고 보고되었으나, 이는 떡납줄갱이와 학명을 혼동한 것이었다.[5] 2013년에는 수원시에서 열린 국악을 재해석한 공연인 ‘축만제’(祝萬堤)에서 ‘서호납줄갱이 소리’가 공연되었다.[6]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