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오

(오염된에서 넘어옴)

염오(染污, 산스크리트어: klista)는 번뇌의 다른 말이며 잡염(雜染) 또는 (染)이라고도 한다.

염오(染污)와 번뇌(煩惱)는 같은 말이기는 하지만, 염오(染污)는 번뇌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혼탁하게 하는 측면을 강조해서 번뇌를 달리 말하는 것이다. 즉,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혼탁해지게 함으로써 오도(悟道), 즉 진리를 깨치는 것을 장애하는 측면을 부각시켜 번뇌를 달리 말하는 것이다.[1][2][3] 염오는 부정(不淨: 맑고 명료하지 못함, 또는 맑고 명료하지 못하게 함)이라고도 하는데, 부정(不淨)이라는 낱말 역시, 마음번뇌로 인해 오염된 상태와, 번뇌마음을 오염시켜 오도(悟道: 진리를 깨침)를 장애하는 측면을 부각시켜 번뇌를 달리 일컫는 낱말이다. 그리고, 번뇌에 오염된 결과 (事)와 (理)에 대해 어리석음이 생겨서 사리(事理)에 밝지 못한 상태를 미혹(迷惑)된 상태라 하며, 미혹된 상태는 미혹을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다시 더 큰 번뇌를 가져와 더 미혹되게 된다.[4][5]

불교에서는 일체법(善) · 불선(不善) · 무기(無記)의 3성(三性)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무기는 다시 유부무기(有覆無記)와 무부무기(無覆無記)로 나뉜다. 달리 말하자면, 무기(無記)란 도 아니고 불선(악)도 아닌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다시 다시 순수한 무기와 바른 지혜가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는 무기로 나뉘며, 전자를 무부무기(無覆無記)라 하고 후자를 유부무기(有覆無記)라 한다.[6]

염오(染污)는 이와 같이 일체법3성(三性)으로 분류할 때, 불선과 유부무기를 합한 것에 해당한다.[1]

일체법 또는 특정한 법들의 그룹을 3성(三性)으로 분류하는 것, 즉 3성(三性)의 관점으로 나누는 것을 전통적인 용어로 3성 분별(三性分別)이라 하는데, 3성 분별은 이들 들 중에서 무엇이 이며 무엇이 (불선)이며 무엇이 도 아닌 것인지 분류하는 것으로, 간단히 말하자면, 도덕적 기준에서 해당 들을 나누어보는 것이다. 일체법에 대해 3성 분별을 해보면, 당연히 의 그룹이나 의 그룹보다 훨씬 그 개체수가 많은 것은 산하대지를 포함한 온갖 무생물과 인간을 포함한 온갖 생물이 소속되는 무기의 그룹이다. 하지만, 무기의 그룹은 도 아니므로 불교선악 개념의 관점에서는 현재보다 나은 상태나 현재 나쁜 상태를 가져오지 않고 단지 현재 상태와 유사한 상태를 지속시킬 뿐이므로, 깨달음의 길이라는 측면에서는 의 그룹과 의 그룹이 중요하며 그리고 무기의 그룹 중에서는 바른 지혜가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는 유부무기(有覆無記)가 중요하다. 말하자면, 무엇이 깨달음의 길에서 장애가 되는 이며 무엇이 깨달음의 길에서 나아가게 하는 인지를 가려내어, 으로 을 막고 또한 그 자체를 증대시킴으로써 깨달음에로 더 나아가게 하려는 것이 3성 분별의 목적이고 의의이다.

번뇌로 인해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혼탁해진 것을 흔히 번뇌에 물들었다고 표현한다. 그리고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이 번뇌에 물든 것을 염심(染心), 잡염심(雜染心), 염오식(染污識), 염오심(染污心), 즉 염오한 마음, 오염된 마음 또는 번뇌에 물든 마음이라 한다. 염오한 마음, 즉 번뇌에 물들어 혼탁해진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사물[事]과 이치[理]를 명료하게 알지 못하는 무지(無知)의 상태에 있게 된다.[6][7] 그리고, 염오심(染污心: 염오한 마음), 즉 사물[事]과 이치[理]를 명료하게 알지 못하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무기(無記)이지만, 나[我, 자아]에 대한 그릇된 믿음을 촉진시키다는 점에서 바른 지혜가 생겨나는 것을 방해하므로 유부무기에 속한다.[6]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번뇌에 물들어 있는 것 즉 염오(染污)는 불선유부무기를 합한 것을 말하므로, 형식논리상으로도, 불선은 염오이지만 염오가 곧 불선인 것은 아니며, 마찬가지로, 유부무기는 염오이지만 염오가 곧 유부무기인 것은 아니다.이 형식논리의 실제적인 의의를 살펴보면,불선(不善) 즉 (惡)은 번뇌에 물들어 있는 것이지만 번뇌에 물들어 있는 것이 곧 불선(不善) 즉 (惡)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8]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4성제에 대해 무지(無知)하다고 해서, 또는 선법(善法)을 닦지 않는다고 해서, 그 사람을 나쁜 사람(불선한 사람, 악한 사람)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6]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