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 | |||||||
---|---|---|---|---|---|---|---|
사랑방 | |||||||
◀ 2025년 제13주 ▶ | |||||||
2025년 3월 | |||||||
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9 | 24 | 25 | 26 | 27 | 28 | 1 | 2 |
10 | 3 | 4 | 5 | 6 | 7 | 8 | 9 |
11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2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1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14 | 31 | 1 | 2 | 3 | 4 | 5 | 6 |
보존 문서 | /
사랑방
위키백과 사랑방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사랑방은 위키백과 내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고 담소를 나누는 곳입니다.
새 주제로 글을 쓰시려면 새로운 주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사랑방의 예전 토론은 과거 토론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소식 | ||
---|---|---|
|
의견 요청 |
---|
|

위키백과토론:차단 정책
위키백과토론:차단 정책에 위키백과토론:차단 정책#악성 아이피 및 다중계정 차단 강화 정책으로 의견을 남겼습니다. 많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의견 요청 틀은 달지 않겠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08:48 (KST)
- 해당 토론에서 임시 계정 얘기도 나와서 꺼내는 말씀이지만, 임시 계정에 대해서 사용자나 관리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Jeebeen (토론) 2025년 3월 12일 (수) 18:13 (KST)
An improved dashboard for the Content Translation tool
안녕하세요 Wikipedians,
Apologies as this message is not in your language, 당신의 언어로 번역해 주세요.
The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 team has improved the Content Translation dashboard to create a consistent experience for all contributors using mobile and desktop devices. The improved translation dashboard allows all logged-in users of the tool to enjoy a consistent experience regardless of their type of device.
With a harmonized experience, logged-in desktop users now have access to the capabilities shown in the image below.
We will implement this improvement on your wiki on Monday, March 17th, 2025 and remove the current dashboard by May 2025.Please reach out with any questions concerning the dashboard in this thread.
Thank you!
On behalf of the Language and Product Localization team.
중국 옛 나라에서 전후 시대 틀 삭제 중
아무래도 각 문서별로 이야기하기에는 어려워서 여기에 글을 남깁니다.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한데요. 소위 대한민국 역사 시간에 중국사를 하면서 진한위진남북조수당송원명청 이런 식으로 외우던 중국사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 명백해졌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원나라 시대 다음을 몽골의 북원과 한족의 명나라로 나눠서 틀을 넣으셨던데, 북원의 당대 영토를 보시면 만주 지역과 막북 지역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이 몽골고원으로 쫓겨난 것은 17세기 무렵입니다.
전후 시대 틀의 유지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지우고 있는 것이므로, 반달로 생각하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3월 13일 (목) 13:19 (KST)
협회에 속한 인물의 외부에서의 활동 문제
임시 계정이 도입된 이후 누가 IP주소를 볼 수 있어야 하나요?
임시 계정을 통해, 우리는 비로그인 편집자의 IP 주소를 새로운 고유의 식별자로 대체합니다. 이 변화 이후 비등록 편집자의 IP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은 기여자들이 계속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이루어졌습니다.
반면에 스팸, 기물 파손, 괴롭힘 등 위키를 보호하는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지 않은 편집자의 IP 주소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아래에 설명된 절차를 통해 일부 사용자에게 임시 계정의 IP 주소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계속 부여할 방침입니다.
[본 위키]에 임시 계정을 올해 하반기에 도입하기 이전에, 우리는 누가 임시 계정의 IP 주소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지 의견을 받고자 합니다.
문제점
현재 아래와 같은 조건을 충족하면 권한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 고급 권한을 가진 사용자 (예를 들어: 관리자, 검사관, 글로벌 관리자, 사무장 – 더 많은 예시는 정책을 참조하세요)
- 확장 권한은 없지만 로컬 계정이 최소 6개월 이상이고 로컬 프로젝트에 최소 300회 이상 편집한 사람입니다.
우리의 문제는 두번째 케이스에 해당합니다. 우리는 모든 위키에 임시 계정을 배포하기 전에 이러한 수치 임계값을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임계값이 상당히 낮고 악의적인 행위자가 임시 계정 IP 주소에 너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이 분명해졌습니다. 우리는 이 문제를 처음으로 시범 도입된 위키를 포함한 여러 커뮤니티에서 우려 사항을 들었습니다. 임시 계정이 편집자 프라이버시를 의미 있게 개선하기를 원하므로 대규모 커뮤니티가 있는 위키에 이 기능을 적용하기 전에 좀 더 제한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튜어드, 일부 시범 위키의 커뮤니티 회원, 영어 디스코드에서 활동하는 커뮤니티 회원들과 다른 옵션에 대해 논의한 후, 이 변경 사항을 확정하기 전에 여러분의 피드백을 받고자 합니다.
우리의 새로운 접근 방식
권한이 없는 사용자도 임시 계정의 IP 주소를 볼 수 있는 권한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 또는 사무장이 부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저희의 목표는 보다 일관되게 IP 주소 액세스를 필요한 사람에게만 제한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사람의 수작업이 수반되지만, 자동으로 권한을 부여할 때보다는 부담이 덜할 것입니다.
더 많은 위키에 임시 계정을 배포하면 그 영향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접근 방식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임시 계정의 IP 주소를 열람해야 할때 "임시 계정 IP 열람자" 그룹의 권한을 요청해야 합니다. 그들은 관리자 (권한 부여 절차를 만들수 있는 로컬 커뮤니티) 혹은 사무장 (로컬 관리자가 없는 경우)에게 권한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이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최소 6개월 동안 300개 이상의 편집 수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해당 계정이 6개월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관리자와 사무장은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계정에 임시 계정 IP 액세스 권한을 부여할 수 없습니다. 이는 최소한의 기준이며, 특히 규모가 큰 커뮤니티에서는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임시 계정을 시범 운영 중인 커뮤니티의 의견을 바탕으로 최소 600회 이상의 편집 횟수를 권장합니다.
- 요청을 검토하는 사용자는 권한을 신청하는 사용자가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지, 정당한 사유를 제공했는지 확인합니다. 권한 자체는 특수:사용자권한관리를 통해 부여됩니다.
- 권한 요청을 승인한 사용자는 해당 권한의 회수도 처리합니다.
IP 정보 기능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구 사항은 임시 계정의 IP 주소에 액세스하기 위한 요구 사항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옵션을 고려했습니다:
- 고급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만 부여
- 장점: 커뮤니티의 심사를 거친 사용자만 액세스 권한을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안전 측면에서 이상적인 방식입니다.
- 단점: 너무 제한적입니다. 많은 순찰 활동이 고급 권한이 없는 편집자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하면 확장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순찰 부담이 증가하게 됩니다.
- 편집 횟수 및/또는 계정 연령의 요구 수치를을 높입니다. 권한은 여전히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 장점: 기술적으로 쉬운 방법입니다.
- 단점: 악의적인 편집자가 임시 계정 IP에 액세스할 수 있는 위험은 여전히 높습니다. 악의적인 사용자는 자동화된 도구나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아무리 높은 임계값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규모 프로젝트의 선의의 편집자가 정기적인 편집을 통해 이러한 액세스 권한을 얻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여러분에게 드리는 질문입니다.
- 새 제안이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나요?
- 이 정책을 진행하면서 커뮤니티에 미칠 영향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이 있나요? 예. 2~3주 이내에 정책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몇 주 안에 임시 계정 및 관련 기능에 대한 더 많은 업데이트와 자료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다양한 옵션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프로젝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경우, Diff 포스트를 읽어 보시거나, 프로젝트 페이지와, FAQ를 확인해 보세요. 뉴스레터를 구독해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 감사합니다! NKohli (WMF) & SGrabarczuk (WMF) (토론) 2025년 3월 15일 (토) 19:34 (KST)
- 공식 의견은 따로 내도록 하고... 어느 정도 모두 건너 들은 내용들이네요. 재단의 스탠스를 보니 임시 계정 IP 열람자는 도입하겠다는 의지로 보입니다. 반대하지는 않아요.
- 6개월 이상 300회 이상 규정은 알겠으나, 편집 횟수 600회 이상 '권장'이라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네요. 재단에서는 이렇게 하고 싶은데 몇몇 로컬에서 반발이 있을까봐 '강요는 하지만 자유는 줄게' 이러는듯 합니다. 우리 로컬에서는 그냥 재단에서 규정한 최소로 잡고 유연히 판단했으면 좋겠어요.
- 제가 IP 마스킹 된 권한이 있는 곳이 있어서 좀 봤는데, 우려만큼 크게 불편한 점은 없습니다. 그래도 기존보다 귀찮기도 하고 규정이나 필터 갈아엎어야 하고... 그렇습니다. 아무튼 관련 분들 수고 많으십니다.
ginaan (˵⚈ε⚈˵)★ 2025년 3월 16일 (일) 00:45 (KST)- Hello @기나ㅏㄴ, thanks for the comment and your support! To your question about 300 vs. 600. On larger wikis where most traffic and editing activity is happening, including Korean Wikipedia, we recommend 600. And in general, we prefer and recommend the more restrictive approach here. But the majority of wikis is smaller, and it's more difficult to make 600 edits there - it usually takes more time and effort. So because we need to define one technical threshold for all wikis, we adjust to the majority of wikis. Does this make sense? Thanks, SGrabarczuk (WMF) (토론) 2025년 3월 17일 (월) 10:15 (KST)
- 읽으실 줄을 몰랐네요. 말씀해주시니 의미를 알겠습니다. 일반적으로 600회 이상이 일반적으로 권장되고, 300회 기준은 소규모 위키를 위한 일종의 '허용' 범위이군요. 저희도 그에 맞추어 적용해야겠군요. 답변해주셔 고맙습니다.
ginaan (˵⚈ε⚈˵)★ 2025년 3월 17일 (월) 11:00 (KST) - 한국어 번역: 안녕하세요, 기나ㅏㄴ님, 의견 감사드립니다! 300회 하고 600회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자면, 한국어 위키백과와 같이 접속 및 편집 활동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대규모 위키에서는 600회의 기준을 권장합니다. 일반적으로, 저희는 더 제한적인 기준을 선호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위키는 소규모 위키이며, 작은 위키에서는 편집 600회를 하기에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책상 기준 하나를 작성해야 되는 우리로써, 대부분의 위키에 적합한 방향으로 기준을 작성합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감사합니다. SGrabarczuk (WMF). Takipoint123 (💬) 2025년 3월 19일 (수) 05:20 (KST)
- 읽으실 줄을 몰랐네요. 말씀해주시니 의미를 알겠습니다. 일반적으로 600회 이상이 일반적으로 권장되고, 300회 기준은 소규모 위키를 위한 일종의 '허용' 범위이군요. 저희도 그에 맞추어 적용해야겠군요. 답변해주셔 고맙습니다.
- Hello @기나ㅏㄴ, thanks for the comment and your support! To your question about 300 vs. 600. On larger wikis where most traffic and editing activity is happening, including Korean Wikipedia, we recommend 600. And in general, we prefer and recommend the more restrictive approach here. But the majority of wikis is smaller, and it's more difficult to make 600 edits there - it usually takes more time and effort. So because we need to define one technical threshold for all wikis, we adjust to the majority of wikis. Does this make sense? Thanks, SGrabarczuk (WMF) (토론) 2025년 3월 17일 (월) 10:15 (KST)
- 다른 로컬의 아이피 정보는 못보나 싶네요. 그거 말곤 딱히 떠오르는 게 없습니다. 그 내용 관련해서는 더 궁금해질 때 미디어위키에 따로 질문 남기겠습니다. 여러 사용자분들께서 대략적인 내용에 대해서 잘 설명을 해 주셨고, 이상의 내용은 저희가 직접 찾아 봐야 할 내용 같습니다. 마지막 줄에 미디어위키 프로젝트 링크를 넣어 주신 점도 감사합니다. 어디에서 질문을 해야 하는지 모르기도 했었거든요. --Jeebeen (토론) 2025년 3월 16일 (일) 22:17 (KST)
- 여기에 질문해도 재단 담당자가 번역기를 돌려서 답변하는 것 같으니 여기 질문하셔도 될거 같아요.--*Youngjin (토론) 2025년 3월 17일 (월) 14:40 (KST)
- 재단 정책에 따르면 글로벌 아이피 열람이 가능한 사용자는:
- 1. 사무장, 감찰위원회, U4C, 재단 직원 (임시 계정 IP 주소 정책에 의한 반달 방지 목적 사용 및 비공개 개인정보 열람 정책에 의거한 사용만 가능)
- 2. 전역 관리자, 전역 일괄되돌리기 사용자, 편집 필터 유저관리자와 도우미 (임시 계정 IP 주소 정책에 의한 반달 방지 목적 사용만 가능)
- 3. 로컬 검사관과 기록보호자 (임시 계정 IP 주소 정책에 의한 반달 방지 목적 사용 및 비공개 개인정보 열람 정책에 의거한 사용만 가능).
- 즉, 로컬 관리자는 위의 권한이 없는 이상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아이피 열람이 가능합니다.--Takipoint123 (💬) 2025년 3월 17일 (월) 16:26 (KST)
- 번역하면서 일부분 용어 대치에 신경 못썼군요 앞으로는 신경 쓰겠습니다. 저는 임시 계정 IP 열람자를 활용하는 것이 자동으로 부여하는 것에 비해 이득을 줄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그렇기에 이 권한을 생성하는 기조로 가는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힙니다. --*Youngjin (토론) 2025년 3월 17일 (월) 14:40 (KST)
틀:야구 선수 정보 수정에 대한 토론을 열었습니다.
바로 어제 위키백과:2025 KBO 리그 에디터톤의 일환으로 위키백과:오프라인 모임/2025년 3월 15일이 진행되었고, 해당 모임에서 야구 문서에 관한 토론이 이루어지던 중 틀:야구 선수 정보를 수정하자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등번호'를 어떻게 적을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고, 틀토론:야구 선수 정보#등번호 표기 방법 변경에 대한 제안에 토론을 개설했습니다. 사랑방에서 토론을 진행하거나 의견 요청 목록에 올릴 만큼의 사안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사랑방에 짤막하게 토론 개설 사실을 알립니다. 평소에 야구 문서를 편집하셨던 분이나 스포츠 선수 문서에 관심을 갖고 편집하시는 분들께서 의견을 남겨주시면 생산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듯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 Nt 2025년 3월 16일 (일) 18:43 (KST)
700,000
700,026번째 문서는 일몰이 아쉽지 않은 이유입니다. [1] 2001:E60:8856:47AD:0:0:1E37:D4DA (토론) 2025년 3월 16일 (일) 19:40 (KST)
여기서부터 거꾸로 세면 700,000번째 문서는 레코어입니다. 2001:E60:8856:47AD:0:0:1E37:D4DA (토론) 2025년 3월 16일 (일) 19:42 (KST)
- 사:신효준우임혁의 등재미달 기여를 제거하면 문서가 바뀔 수 있습니다. 협회의 올바른 조처를 기대합니다. 2001:E60:9236:DA34:0:0:1E3F:A8DA (토론) 2025년 3월 16일 (일) 19:55 (KST)
30만번째 문서와 50만번째 문서를 기념할 때 삭제할 문서를 삭제하고 나서 문서를 계산한 적이 있었습니다. 175.223.44.202 (토론) 2025년 3월 17일 (월) 07:51 (KST)프록시 Jeebeen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8:26 (KST)
700,000번째 문서 장수만리화를 작성했습니다. --Gaeho77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2:26 (KST)
- 그런데 특수:통계 문서 보면 아직 문서 개수가 70만개가 되지 않았습니다. 계속 삭제랑 작성이 동시에 반복되면서 70만선을 넘었다가 안넘었다가 하는 것 같습니다 2001:4430:C23B:124E:FB3F:5BA7:1BA5:A687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2:52 (KST)
"~번째 문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늘 말씀드리는 사항이지만, 700,000번째 최초 달성을 지켜보다가 식별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확히 700,000번째 등재 문서를 가려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어차피 삭제나 넘겨주기 처리 등으로 순번은 바뀌며, 뒤늦게 언급된 장수만리화는 700,000번째 문서가 명백히 아닙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5:30 (KST)
삭제 제안등으로 인해 삭제 예정 상태로 표류하는 문서의 증가에 따라 정확한 문서수 구별이 불가능해진 것이 사실입니다. 지금 문제가 되는 문서들이 전부 삭제되었기에 70만번째 문서를 기다리는 것이 타당하고, 삭제 대상 문서들이 정리되야 정확한 문서가 뭔지 파악이 될듯 싶어요.--*Youngjin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5:47 (KST)
- 삭제 신청 문서등을 확인한 결과 오늘 700,000번째 문서가 돌파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며 700,000번째 문서는 동음이의어 문서인 존 몽고메리입니다.--*Youngjin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16:10 (KST)
위키백과:타인 협박 (토론)
지침으로 제안했습니다. 많은 토론 참여 부탁 드려요. --
위키백과토론:편집 지침/음반#음반명 및 노래명 표기 부호 관련
해당 지침 관련하여, 표기를 통일하고자 토론을 열었습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이 간곡하기에,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17일 (월) 07:07 (KST)
KIWI 11호
오늘 KIWI 11호가 발행되었습니다. 이번 KIWI 부터, 더 많은 한국어, 글로벌 위키 소식과 더불어서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싣기 위해 노력했는데요, 여러분들의 참여가 필요합니다. KIWI를 읽으시고 소감을 아래 남겨주시거나, 다음 KIWI를 위한 독자 기고를 남기시는 것을 고려해 주세요:) KIWI는 언제나 여러분들과 함께 하겠습니다.
- 11호 독자 반응 이벤트
KIWI 11호를 읽고 아래 소감을 남겨주세요. 소감을 남겨주신 분중 추첨을 통해 편의점 상품권 5000원권을 드립니다!
- KIWI 12호 기고 모집
KIWI 12호에 여러분의 의견을 담은 소중한 글을 싣고 싶으신가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고영진 매니저에게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채택되는 경우 작지만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Youngjin (WMKR)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1:46 (KST)
공용 저작권 관련 토론
- Template talk:PD-South Korea#Proposal for renaming & splitting templates
- Commons talk:Copyright rules by territory/North Korea#Article 12 of Copyright Law (COM:NOP North Korea & Template:PD-KPGov)
공용에서 한국 및 북한 저작권 관련 저작권 토론을 열었으니, 혹시 관심 있으시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의견 부탁드립니다. 첫 번째는 Template:PD-South Korea 등의 틀의 이름 변경과 함께 내용을 조금 더 구체화하는 내용이고, 두 번째는 북한 관련 저작권법에서 저작권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Namoroka (토론) 2025년 3월 18일 (화) 17:02 (KST)
토론 홍보
[[토론:202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Wikiwikiwikispace (토론) 2025년 3월 22일 (토) 10:18 (KST)
- 토론:202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Wikiwikiwikispace (토론) 2025년 3월 22일 (토) 16:52 (KST)
- 의견 요청 틀을 다세요. 사랑방은 홍보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09:18 (KST)
- 감사합니다. 제가 적응하는 중이라 아직 미숙한 면이 있습니다. Wikiwikiwikispace (토론) 2025년 3월 23일 (일) 21:51 (KST)
커뮤니티 오프 모임 토론 주제 제안
4월 26일 커뮤니티 오프 모임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토론 주제의 하나로 왕족과 귀족을 포함한 외국 인명의 제목 정하기에 대한 원칙 확인을 위한 토론을 제안합니다. 몇 개월째 논의는 계속되는데 온라인 특성상 과열 조짐만 있을 뿐 무언가 쳇바퀴 돈다는 느낌이 있어서요.
먼저 말씀 드려야 할 것은 이것들에 대한 한국 사회 내의 확고한 원칙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국립국어원이나 외교부와 같은 기관, 각종 학회나 언론 등의 단체, 학자 등의 개인은 저마다 적당한 자신들의 기준을 사용하여 인명을 표기하고 있으며 이 들 사이에는 공통적인 원칙도 있으나 서로 상이한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 위키백과 커뮤니티는 다음과 같은 대원칙을 이미 총의로 형성하고 있습니다.
- 어떠한 기관, 단체, 개인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용표기로 표기한다.
-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은 존중되나 절대적 원칙은 아니다.
- 각종 예외적 상황은 사용자간의 토론에 따른다.
- 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인명 (지침)
- 위키백과:제목 선택하기/왕족 및 귀족(지침 제안)
따라서 토론에 참석할 분들께 다음의 사항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미리 정리하고 참여하시길 권합니다.
- 통용표기 대원칙에 대한 확인 또는 입장
- 각종 인명의 표기 사례 / 개선 요청 사례
- 왕족과 귀족의 표기에 대한 원칙
- 서양 근대 이전 시기 왕족 및 귀족의 경우 출신지 + 인명 등임을 감안한 자신의 제안
- 아라곤의 캐서린 vs 아라곤의 카탈리나 vs 카달리나 다라곤
- 서양 근대 이후 특히 영국 등의 경우 서훈의 하나로서 작위가 부여되는 경우 이를 제목에 표시하여야 하는가
- 동양 왕족 및 귀족의 표기 원칙을 좀 더 단순화 할 수 있는가
- 예외적 사항에 대한 처리 방안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고 마무리하면 위키백과 내에서도 신속한 총의 형성과 지침 확정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씁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 Jjw (토론) 2025년 3월 24일 (월) 11:38 (KST)
의견 왕족 및 귀족 제목 선택하기 발제자로서, 해당 지침에 대해 간단하게 발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물론 대화를 주고받는 것도 좋지만, 짤막하게 5분짜리 PPT도 한 번 준비해보겠습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3월 24일 (월) 12:52 (KST)
의견 좋은 논의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시해주신 내용에 관해 이전부터 생각하고 있던 내용이 있으나 현생이 너무 바빠서... 최대한 빨리 백:수필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3월 24일 (월) 19:02 (KST)
관리자 입후보 최소 기준 관련
피선거권은 첫 기여를 한 이후 90일이 경과하고 일반 문서를 1,000회 이상 편집한 사용자에게 부여됩니다.
2025년 3월 기준 관리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한 최소 기준인데, 이 기준이 너무 작다고 봅니다. 편집 횟수 1000회는 생각보다 빨리 채워지고(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겠지만) 3개월이라는 시간도 위키백과 시스템에 익숙해지고 관리자가 될 만큼 적응하기까지는 터무니없이 짧은 시간이라고 봅니다. 관리자가 되려면 첫 기여 이후 1년 이상 경과, 일반 문서를 5000회 이상 편집한 사용자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어떤가요? 위키백과 편집자 여러분들의 자유로운 의견 부탁드립니다. 1.221.161.157 (토론) 2025년 3월 24일 (월) 18:02 (KST)
- 자격 부여는 말 그대로 자격 부여일 뿐, 실질적인 관리자 선출까지는 다양한 토론과 찬반 의견이 갈리게 됩니다. Persephone Kore (토론) 2025년 3월 25일 (화) 08:15 (KST)
위키마니아 2025 및 해외 컨퍼런스 장학금 신청 개시 알림
안녕하세요, 지금 이시간부터 위키마니아 2025 및 해외 컨퍼런스 장학금 신청을 4월 10일까지 받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Youngjin (WMKR) (토론) 2025년 3월 24일 (월) 18:13 (KST)
정체된 토론에 대한 참여 요청
지난 1월 18일부터 두 달 넘게 위키백과:알찬 글 재검토에 조현우 문서에 대한 재검토 토론이 진행되고 있으나, 토론에 의견을 낸 사람은 발의자를 제외하고 한 명뿐입니다. 알찬 글/좋은 글/알찬 목록 후보 토론에 비해 재검토 토론은 비교적 주목 받지 못하는 점을 고려하여, 사랑방에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전합니다.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Nt 2025년 3월 24일 (월) 19:56 (KST)
관리자 사퇴 인사
저번 12월에 관리자에 당선되었던 Aspere라고 합니다. 당시나 지금이나 여러분께서 저를 많이 고평가해 주시고 기대도 많이 걸어 주신 점은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저도 이에 보답하고자 나름 노력하였다고 생각하지만 아무래도 저에게는 무리였던 것 같아 직을 내려놓고자 합니다. 출마 이전부터 관리자라는 직책은 100번을 잘 해도 한 번 실수하면 모든 싫은 소리를 다 듣는 욕받이라고 알고 있었고 충분히 각오도 하고 있었으나, 이 속사정을 잘 알고 있을 사람까지도 저에게 비슷한 말을 하는 것을 보고 관리자로서 활동하고자 하는 의지도 꺾이고, 한국어 위키백과 자체에 대한 애정도 사라질 것 같아서 더 늦기 전에 일반 사용자로 되돌아가고자 합니다.
저에게 어느 정도 회복 시간을 주고 싶기도 하고 현실의 삶도 점점 바빠지고 있어, 앞으로 얼마나 이 곳에 돌아올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가능하다면 앞으로는 관리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로서 계속해서 참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spere (토론) 2025년 3월 26일 (수) 14:33 (KST)
- 수고 많으셨습니다.
ginaan (˵⚈ε⚈˵)★ 2025년 3월 26일 (수) 15:21 (KST) - '매끄러운 대화가 아니라면 용서를 구한다', '둘 사이에서 해결을 원하다'고 정중히 말씀드렸는데, 이렇게 사랑방에서 비난을 하시니 유감입니다. 그리고 "비공식 채널에서 진행하시는 괴롭힘으로도 이미 충분합니다." 등 차후 누명을 씌우지 않길 바랍니다. (아무리 기분 나쁘셨더라도 거짓말은 하지 말으셨어야 했습니다.) 억울한 부분이 있어 글을 남긴 것이니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와 별개로 관리자로서 그 동안 고생 많으셨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ted (토론) 2025년 3월 26일 (수) 21:3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