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조선축구대회

일제강점기의 축구 대회 (1921-1940)

전조선축구대회(全朝鮮蹴球大會)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개최되었던 축구 대회이다. 1921년부터 전국 규모로 개최되었으며, 1940년에 제21회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대한축구협회에 의해 전국축구선수권대회(1946~2000)와 FA컵(1996~)으로 이어진다. 관서체육회 주최로 평양에서 열린 전조선축구대회와 명칭이 동일하나 전혀 다른 대회이다.

전조선축구대회
대회 명칭전조선축구대회
원어 명칭全朝鮮蹴球大會
종목축구
개최국일제강점기 조선
주최조선체육회, 조선축구협회
개최 주기매년
역사
설립1921년
폐지1940년
개최 횟수21회

역사

1910년대 서울과 평양 등 전국적인 축구 열풍으로 수많은 성인축구 및 학원축구 팀들이 생겨났고, 이에 전국 단위 축구대회 탄생의 분위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1921년 조선체육회에서는 전조선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한국축구 최초의 전국 규모 축구대회를 창설한다. 초기에는 축구경기만을 대회로 치렀으나, 제15회(1934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까지는 전조선종합경기대회(현 전국체육대회의 전신)의 일부로서 타 운동종목과 함께 개최되었다. 그러나 1937년 일제의 조선체육회의 강제 해산에 따라 전조선종합경기대회가 폐지되며 축구경기 역시 폐지의 위기에 몰린다. 이에 따라 1938년부터는 조선축구협회가 이를 존속시키고자, 전조선종합축구선수권대회라는 명칭으로 축구경기만을 따로 주최하게 된다. 특히 조선축구협회는 조선체육회 주최의 전조선축구대회의 전통을 이어받는 뜻에서, 대회 횟수도 제19회로 명명한다. 그러나 이 역시 일제의 구기종목 금지령으로 3년 만에 폐지된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축구 컵대회

대회 개요

주최

제1회(1921년)부터 제18회(1937년) 대회는 조선체육회에서 주최하였으나, 제19회(1938년)부터 제21회(1940년)대회까지는 조선축구협회에서 주최하였다.

한편 제1회 대회 개최 당시 조선일보동아일보가 일제로부터 첫 정기정간을 당했던 시기라, 총독부기관지인 매일신보에서 후원했으나, 제3회 대회부터는 동아일보가 후원한다.

장소와 시기

출전 팀의 홈 또는 원정 경기장에서 열리는 지금의 FA컵과 달리, 전조선축구대회는 모두 서울에서 열렸다. 초기에는 배재고보, 경성중학, 휘문고보 운동장 등에서 열렸으나, 제8회(1927년) 대회부터는 경성운동장(현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다.

개최 시기와 관련하여 초기에는 2월이나 4월에도 열렸으나, 이후에는 주로 늦가을인 10월에서 11월에 열렸다. 때문에 1920년대 중반부터는 봄 - 평양의 전조선축구대회, 가을 - 서울의 전조선축구대회의 구도가 정착된다.

대회 구성

연령별로 성인팀 대 성인팀, 유소년팀 대 유소년팀의 대결구도로 각각 개최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회차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소학부, 중등부, 전문부, 청년부(혹은 일반부)와 같이 대회가 구분되어 있었다. 소학부는 지금의 초등학교, 중등부는 지금의 중고등학교, 전문부는 지금의 대학교, 청년부는 지금의 성인팀에 해당한다.

의미

전조선축구대회는 한국 최초로 정식 축구경기규칙이 적용되어 근대식 축구경기가 열린 대회이다. 일본 아사히신문사가 발행한 운동연감에 실려있는 축구경기규칙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제1회 대회부터 적용한 것이다. 제2회 대회부터는 대회강령 및 경쟁규정, 심판규정이 마련되었으며 그 내용은 지금까지 남아있어 한국축구사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전조선축구대회는 1940년을 끝으로 폐지되었고, 초기의 여러 대회를 현 천황배일본축구대회의 뿌리로 인정하여 횟수를 부여하는 일본축구협회와 달리, 대한축구협회에서는 전조선축구대회와 FA컵의 관계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이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FA컵의 전신에 가까운 전국축구선수권대회(1946-2000)와 현재의 FA컵(1996-) 이전에 열린 최초의 전국적인 대회로서 역사적인 상징성이 있다.

각 대회별 결과

횟수연도일시종별우승스코어준우승장소비고
1회19212.13 - 14중등부분규로 대회 중단[a 1]배재고보 운동장[a 2]
고등부
2회19222.11 - 13중등부휘문고보3 : 0중앙고보경성중학 운동장[a 3]
청년부평양무오단3 : 0불교청년회
3회192211.23 - 25학생부휘문고보2 : 1숭실중학배재고보 운동장
청년부불교청년회2 : 0건강구락부
4회192311.21 - 23소학부광성보통학교[a 4]1 : 0보인보통학교[a 5]휘문고보 운동장[a 6]소학부 신설
중등부배재고보[a 7]4 : 4중앙고보
청년부불교청년회3 : 1임술 축구단[a 8]
5회192410.30 - 11.1소학부광성보통학교4 : 0영흥공립보통학교[a 9]휘문고보 운동장
중등부배재고보3 : 0평양고보
청년부건강운동부6 : 3수양구락부
6회19254.28 - 30소학부평양숭덕학교[a 10]2 : 1광성보통학교배재고보 운동장전문부 신설
중등부배재고보3 : 0경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a 7]0 : 0숭실전문
청년부조선 축구단3 : 2고려구락부
7회192611.18소학부평양숭덕학교1 : 0안악공립보통학교배재고보 운동장
중등부배재고보5 : 2경신학교
전문부연희전문2 : 0숭실전문
청년부평양무오단3 : 2조선 축구단
8회192711.2- 4소학부숭덕학교6 : 0흥동학교경성운동장전문부 폐지
중등부숭실중학3 : 1배재고보
청년부연희전문7 : 0조선 축구단
9회192811.1 -5소학부서빙고보통학교4 : 2안악공립보통학교경성운동장
중등부경신학교8 : 0경성실업전수학교
청년부연희전문3 : 0보성전문
10회192910.24 - 26소학부서빙고보통학교8 : 0흥명보통학교경성운동장[a 11]
중등부경신학교2 : 0보성고보
청년부보성전문3 : 1연우구락부
11회193010.30소학부안악공립보통학교, 흥동학교 공동 우승(0 : 0 무승부)경성운동장
중등부숭실중학2 : 0경성실업전수학교
청년부연희전문3 : 2보성전문
12회193110.2소학부충신학원6 : 1흥동학교경성운동장
중등부숭실중학1 : 0경신학교
청년부숭실전문3 : 1연희전문
13회193211.4소학부경기무효경성운동장전문부 부활
중등부경성농업학교자료없음배재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청년부청진 축구단[a 12]계림 축구단
14회193311.1소학부충신학원3 : 2보인보통학교경성운동장
중등부경성농업학교2 : 1선천신성학교
전문부숭실전문4 : 1연희전문
청년부조선 축구단2 : 1경성 축구단
15회193411.2 - 5소학부충신학원자료없음명성학원경성운동장
중등부숭실중학교2 : 0중동중학교
전문부보성전문2 : 1연희전문
일반부평양 축구단3 : 1조선 축구단
16회193510.22 - 26중등부휘문고보1 : 0숭실중경성운동장소학부 폐지
전문부연희전문3 : 1보성전문
일반부청진 축구단3 : 0철도국 축구단
17회193610.31중등부경신학교3 : 0함흥영생고보경성운동장
전문부연희전문2 : 1보성전문
일반부경성 축구단4 : 2순천 축구단
18회193710.30중등부배재고보2 : 1재령명신학교경성운동장
전문부연희전문4 : 2경성치과전문
일반부서울 축구단2 : 0동방 축구단
19회193811.1 - 4소학부보성소학자료없음금성소학경성운동장소학부 부활
중등부배재고보1 : 0중동중학교
전문부보성전문4 : 1연희전문
일반부함흥 축구단4 : 0경성 축구단
20회193911.2소학부진흥소학3 : 1선명소학경성운동장
중등부중동중학교1 : 0보성고보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일반부철도국 축구단3 : 2경성 축구단
21회194011.14중등부중동중학3 : 2보성고보경성운동장소학부폐지
일제의 침략 정책에 의해
21회 끝으로 대회 중단
전문부보성전문2 : 0연희전문
일반부마장 축구단1 : 0선일 축구단

역대 우승구단

최초 우승구단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우승준우승
연희전문3회 (1927, 1928, 1930)1회 (1931)
조선축구단2회 (1925, 1933)3회 (1926, 1927, 1934)
무오 축구단2회 (1922-제2회 전조선축구대회, 1926)1회 (1923)
불교청년회 축구단2회 (1922-제3회 전조선축구대회, 1923)1회 (1922-제2회 전조선축구대회)
청진 축구단2회 (1932, 1935)
경성 축구단1회 (1936)3회 (1933, 1938, 1939)
건강구락부1회 (1924)1회 (1922-제3회 전조선축구대회)
보성전문1회 (1929)2회 (1928, 1930)
철도국 축구단1회 (1939)1회 (1935)
숭실전문1회 (1931)
평양 축구단1회 (1934)
서울 축구단1회 (1937)
함흥 축구단1회 (1938)
마장 축구단1회 (1940)
수양구락부1회 (1924)
고려구락부1회 (1925)
연우 구락부1회 (1929)
계림 축구단1회 (1932)
동방 축구단1회 (1937)
선일 축구단1회 (1940)
순천 축구단1회 (1936)

구단별 우승 횟수 (전신과 전문학교 포함시)

  1. 불교청년회 축구단시기
  2. 무오 축구단 시기

  • 전문학교 포함시3
    • 연희전문 8회 - 청년부 3회(1927, 1928, 1930), 전문부 5회(1925, 1926, 1930, 1936, 1937))
    • 보성전문 6회 - 청년부 1회(1929), 전문부 5회 (1932, 1934, 1938, 1939, 1940)
    • 숭실전문 3회 - 청년부 1회(1931), 전문부 1회 (1933)

  1. 1927년~1931년 사이 전문부 폐지로 일반부에서 전문학교 팀이 우승함

연고지별 우승 횟수

※ 괄호안은 전문학교 포함시 횟수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