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교육사령부

대한민국 해군의 교육 사령부

해군교육사령부(海軍敎育司令部, Naval Education & Training Command)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해군기지에 위치한 대한민국 해군의 교육 사령부이다. 해군의 아버지 손원일 제독이 조직한 해방병단 안에 1946년 2월 15일에 설립된 신병교육대를 기반으로 창설되었다. 1987년 7월 1일 사령부로 증편되었다.

해군교육사령부
海軍敎育司令部
활동 기간1946년 2월 15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소속 대한민국 해군
병과모든 병과
종류교육 사령부
역할군사 교육훈련
규모4개 예하부대, 3개 학교 등
명령 체계해군본부
본부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희로 (진해 해군기지)
표어"정예장병 육성부대"
군가해군교육사령부가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휘관
사령관 소장 김성학 (해사 45기)

사건사고

2014년 국군기무사령부에서 해군교육사령부의 고위 장교들이 파수군을 우회하여 각종 군사기밀을 유출하고 있는 것을 포착해서 1년 가까이 수사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밀 유출에 관련된 구체적인 증거를 찾지 못해 수사는 난항을 겪고 있었다. 군 내부자는 전역 후, 다른 정부기관에 다시 민원을 냈는데, 이 때문에 군 안팎으로는 유출된 자료의 민감성 때문에 수사에도 영향을 받는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1]

2019년 8월 13일, 해군교육사령부 내 탄약고 경계병 2명은 지난 5월 14일 밤 근무 도중 개인 휴대전화로 부대 밖 치킨집에서 생맥주 1만cc와 소주 등을 배달시켜 새벽까지 술판을 벌였다. 규정상 병사들의 휴대전화 사용은 오후 10시까지로 제한되지만 당시 간부들은 휴대전화 미반납 사실을 몰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계병들은 치킨집과 가까운 부대 후문초소로 배달을 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후문초소에서 근무를 서던 경계병 2명은 배달 시킨 음식과 술이 도착하자 이를 들고 탄약고 초소로 합류했다. 이들 4명은 다른 병사 2명을 더 불러 새벽 2시까지 함께 탄약고 초소에서 술을 마셨다. 이들 6명이 술을 마신 수시간 동안 대로변에 접한 후문초소는 텅 비워져 있었다. 병사들의 휴대전화 사용 관리 미흡과 초병의 근무지 이탈 및 음주, 경계근무 소홀 등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일어난 셈이다. 특히 해군 교육사의 경우 바다와 맞닿아 있을 뿐 아니라 진해구 도심과 인접해 있어 외부인의 무단진입 우려가 큰 만큼 경계가 더욱 철저히 이뤄져야 함에도 구멍이 뚫렸다.병사들의 일탈은 다음날 휴대전화 미반납 사실을 인지한 한 간부가 휴대전화에 저장된 전날의 '인증샷'을 확인하면서 발각됐다. 하지만 중대장은 사건 초기 이를 지휘계통으로 보고하지 않고 한달 가까이 은폐했다. 결국 한 관계자가 소원수리함을 통해 은폐 사실을 폭로한 후 군은 지휘계통 보고를 하고 수사에 들어갔다.[2]

조직

이전

연혁

  • 1946년 2월 15일, 신병교육대
  • 1952년 4월 1일, 신병훈련소
  • 1956년 3월 21일, 해군교육단
  • 1987년 7월 1일, 해군교육사령부

역대 지휘관

대한민국 해군교육단, 단장
#계급 / 성명취임일이임일
1준장 김중남1956년 3월 7일1957년 1월 29일
2대령 함명수1957년 1월 29일1958년 4월 24일
3준장 한갑수1958년 7월 20일1961년 4월 20일
4준장 김준태1961년 4월 20일1961년 5월 25일
5준장 현시학1961년 7월 8일1961년 12월 26일
6대령 신영철1961년 12월 26일1962년 11월 7일
7대령 백운기1962년 11월 7일1964년 5월 15일
8대령 최정도1964년 8월 11일1966년 9월 26일
9대령 이상호1966년 9월 26일1969년 1월 20일
10대령 안병기1969년 1월 20일1970년 4월 1일
11대령 이계호1970년 4월 1일1970년 7월 16일
12대령 이수권1970년 7월 16일1971년 6월 11일
13대령 진정수1971년 6월 11일1972년 4월 17일
14대령 오한로1972년 4월 17일1973년 4월 3일
15대령 최장수1973년 4월 3일1974년 1월 14일
16준장 배욱광1974년 1월 14일1974년 3월 25일
17준장 이정선1974년 3월 25일1976년 2월 19일
18준장 장세환1976년 2월 19일1976년 8월 20일
19대령 김헌탁1976년 8월 20일1978년 1월 23일
20소장 최기덕1978년 1월 23일1979년 9월 25일
21소장 이건우1980년 1월 31일1981년 5월 25일
22준장 김희욱1981년 5월 25일1981년 12월 24일
23준장 김인식1981년 12월 24일1983년 1월 10일
24준장 유광현1983년 1월 10일1985년 1월 10일
25준장 강영오1985년 1월 1일1987년 1월 6일
26준장 이윤도1987년 1월 6일1987년 6월 29일
대한민국 해군교육사령부, 사령관
#계급 / 성명취임일이임일
1?1987년 7월 1일?
?중장 이범림??
?중장 이성환2018년 12월2019년 11월
?중장 김현일2019년 11월2020년 12월
?중장 강동훈2020년 12월2021년 12월
?중장 정승균2021년 12월2022년 5월
직무대리준장 박태규2022년 5월2022년 6월
?중장 이성열2022년 6월2023년 12월
?소장 김성학2023년 12월

참고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