헵타트라이아콘탄산

화합물

헵타트라이아콘탄산(영어: heptatriacontanoic acid) 또는 헵타트라이아콘틸산(영어: heptatriacontylic acid)은 화학식이 CH3(CH2)35COOH인 37개의 탄소로 구성된 긴 사슬의 포화 지방산이다.

헵타트라이아콘탄산
이름
IUPAC 이름
heptatriacontanoic acid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CompTox Dashboard (EPA)
  • InChI=1S/C37H74O2/c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h2-36H2,1H3,(H,38,39)
    Key: DEQQJCLFURALOA-UHFFFAOYSA-N
  • InChI=1/C37H74O2/c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h2-36H2,1H3,(H,38,39)
    Key: DEQQJCLFURALOA-UHFFFAOYAP
  • O=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성질
C37H74O2
몰 질량550.997 g·mol−1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공급원

헵타트라이아콘탄산은 Abelmoschus manihotAlpinia nigra에 존재한다.[1][2] 또한 헵타트라이아콘탄산은 동물성 플랑크톤에서도 측정되었다.[3]

화합물

화합물 4,21-다이메틸-5,19-다이-(트랜스)-엔오일-헵타트라이아콘탄산은 Mycobacterium brumae의 유리 마이코박테리아산의 주요 동족체 구조이다.[4]

제조

미국 특허 제5502226호는 헵타트라이아콘탄산을 포함하는 ω-하이드록시산의 제조 방법을 다룬다.[5]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