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2022년 FIFA 월드컵 예선 3차전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은 2021년 9월 2일부터 2022년 3월 29일까지 진행되며,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겸한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올라온 2차 예선 각 조 1위를 차지한 7개 와 각 조 2위를 차지했던 8개 국가 가운데 성적이 가장 우수한 5개 국가가 총 12개국이 A조, B조 6개국으로 나뉘어 홈 &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을 치르게 되고, 각 조 1위와 2위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에 직행하며, 각 조 3위 팀은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를 진출하여 단판 경기로 붙게 된다. 카타르는 차기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서 자동 진출을 하며 최종 예선 참가에서 제외된다.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개최기간2021년 9월 2일 ~ 2022년 3월 29일
« 2018
2026 »

참가국


(2차 예선)
1위2위 (상위 5팀[note 1])
A조 시리아 중화인민공화국
B조 오스트레일리아
C조 이란 이라크
D조 사우디아라비아
E조 카타르[note 2] 오만
F조 일본
G조 아랍에미리트 베트남
H조 대한민국 레바논

시드 배정

포트 1포트 2포트 3
  1. 일본 (24위)
  2. 이란 (26위)
포트 4포트 5포트 6
  1. 오만 (79위)
  2. 시리아 (80위)
  1. 베트남 (92위)
  2. 레바논 (98위)

경기 일정

최근 코로나19 바이러스 여파로 인해 조별리그 경기 운영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경기일날짜원래 날짜
경기일 12021년 9월 2일2020년 9월 3일
경기일 22021년 9월 7일2020년 9월 8일
경기일 32021년 10월 7일2020년 10월 13일
경기일 42021년 10월 12일2020년 11월 12일
경기일 52021년 11월 11일2020년 11월 17일
경기일 62021년 11월 16일2021년 3월 25일
경기일 72022년 1월 27일2021년 3월 30일
경기일 82022년 2월 1일2021년 6월 8일
경기일 92022년 3월 24일2021년 9월 7일
경기일 102022년 3월 29일2021년 10월 12일

경기 결과

A조

순위경기승점통과
1 이란10811154+1125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1-11-01-01-02-0
2 대한민국10721133+10232-01-00-02-11-0
3 아랍에미리트1033477012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0-11-02-22-00-0
4 이라크10163612−690-30-31-01-10-0
5 시리아10136916−760-30-21-11-12-3
6 레바논10136513−861-20-10-11-10-3
2021년 9월 2일 (2021-09-02)
20:00 UTC+9
대한민국 0 – 0 이라크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 0명[note 3]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0:30 UTC+4:30
이란 1 – 0 시리아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0명[note 3]
심판: 사토 류지 (일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0:45 UTC+4
아랍에미리트 0 – 0 레바논자벨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 1,513명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20:00 UTC+9
대한민국 1 – 0 레바논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note 4]
관중: 0명[note 3]
심판: 사토 류지 (일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19:00 UTC+3
시리아 1 – 1 아랍에미리트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note 5]
관중: 2,37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21:00 UTC+3
이라크 0 – 3 이란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 0명[note 3]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0:00 UTC+9
대한민국 2 – 1 시리아안산와스타디움, 안산
관중: 0명[note 3]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17:30 UTC+3
이라크 0 – 0 레바논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 0명[note 3]
심판: 투르키 알쿠드하이르 (사우디아라비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0:45 UTC+4
아랍에미리트 0 – 1 이란자벨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 3,034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17:00 UTC+3:30
이란 1 – 1 대한민국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0명[note 3]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20:45 UTC+4
아랍에미리트 2 – 2 이라크자벨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 2,820명
심판: 사토 류지 (일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19:00 UTC+3
시리아 2 – 3 레바논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note 5]
관중: 2,377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20:00 UTC+9
대한민국 1 – 0 아랍에미리트고양종합운동장, 고양
관중: 30,152명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14:00 UTC+2
레바논 1 – 2 이란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 0명[note 3]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20:00 UTC+3
이라크 1 – 1 시리아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 50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8:00 UTC+3
이라크 0 – 3 대한민국타니 빈 자심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note 6]
관중: 0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8:00 UTC+2
시리아 0 – 3 이란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note 5]
관중: 907명
심판: 마닝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4:00 UTC+2
레바논 0 – 1 아랍에미리트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 0명
심판: 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4:00 UTC+2
레바논 0 – 1 대한민국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note 4]
관중: 5,40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8:00 UTC+3:30
이란 1 – 0 이라크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9,354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9:00 UTC+4
아랍에미리트 2 – 0 시리아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관중: 2,450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4:00 UTC+2
레바논 1 – 1 이라크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 6,341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8:00 UTC+4
시리아 0 – 2 대한민국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note 5]
관중: 310명
심판: 기무라 히로유키 (일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8:00 UTC+3:30
이란 1 – 0 아랍에미리트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관중: 0명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20:00 UTC+9
대한민국 2 – 0 이란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 64,375명
심판: 크리스 비스 (오스트레일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14:00 UTC+2
레바논 0 – 3 시리아사이다 시립경기장, 시돈
관중: 5,422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20:00 UTC+3
이라크 1 – 0 아랍에미리트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note 6]
관중: 1,320명
심판: 마닝 (중국)
  • Al-Saedi  53′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6:00 UTC+4:30
이란 2 – 0 레바논이맘 레자 스타디움, 마슈하드
관중: 22,453명
심판: 푸밍 (중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7:45 UTC+4
아랍에미리트 1 – 0 대한민국알막툼 스타디움, 두바이
심판: 아흐메드 알카프 (오만)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7:45 UTC+4
시리아 1 – 1 이라크라시드 스타디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note 5]
심판: 사토 류지 (일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B조

순위경기승점통과
1 사우디아라비아10721126+6232022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1-01-01-03-23-1
2 일본10712124+8222-02-10-12-01-1
3 오스트레일리아10433159+615아시아 플레이오프 진출0-00-23-13-04-0
4 오만104241110+1140-10-12-22-03-1
5 중화인민공화국10136919−1061-10-11-11-13-2
6 베트남10118819−1140-10-10-10-13-1
2021년 9월 2일 (2021-09-02)
19:15 UTC+9
일본 0 – 1 오만시립 스이타 사커 스타디움, 스이타
관중: 4,853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1:00 UTC+3
오스트레일리아 3 – 0 중화인민공화국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7][3]
관중: 0명[note 3]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2일 (2021-09-02)
21: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3 – 1 베트남므르술 파크, 리야드
관중: 8,331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19:00 UTC+7
베트남 0 – 1 오스트레일리아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 0명[note 3]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그랜트  43′
2021년 9월 7일 (2021-09-07)
18:00 UTC+3
중화인민공화국 0 – 1 일본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8][4]
관중: 0명[note 3]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9월 7일 (2021-09-07)
20:00 UTC+4
오만 0 – 1 사우디아라비아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 8,150명
심판: 한나 하타브 (시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0: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1 – 0 일본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관중: 51,218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1: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3 – 2 베트남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 0명[note 3]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7일 (2021-10-07)
21:30 UTC+3
오스트레일리아 3 – 1 오만칼리파 국제경기장, 도하 (카타르)[note 7][5]
관중: 0명[note 3]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R. 알알라위  28′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19:14 UTC+9
일본 2 – 1 오스트레일리아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 14,437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20:00 UTC+4
오만 3 – 1 베트남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 9,123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0월 12일 (2021-10-12)
20: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3 – 2 중화인민공화국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관중: 54,124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20:1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0 – 0 사우디아라비아웨스턴 시드니 스타디움, 시드니
관중: 23,314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19:00 UTC+7
베트남 0 – 1 일본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 11,022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1일 (2021-11-11)
19: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1 – 1 오만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 1,700명
심판: 시바꼰 푸우돔 (태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Al-Harthi  75′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9: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1 – 1 오스트레일리아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 1,050명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20:00 UTC+4
오만 0 – 1 일본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 14,123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1년 11월 16일 (2021-11-16)
19:00 UTC+7
베트남 0 – 1 사우디아라비아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 9,669명
심판: 한나 하타브 (시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20:1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4 – 0 베트남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멜버른
관중: 27,740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19:00 UTC+9
일본 2 – 0 중화인민공화국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 11,753명
심판: 압둘라흐만 알자심 (카타르)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1월 27일 (2022-01-27)
20:15 UTC+3
사우디아라비아 1 – 0 오만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관중: 47,364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9:14 UTC+9
일본 2 – 0 사우디아라비아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 19,118명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19:00 UTC+7
베트남 3 – 1 중화인민공화국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 6,099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2월 1일 (2022-02-01)
20:00 UTC+4
오만 2 – 2 오스트레일리아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관중: 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20:10 UTC+11
오스트레일리아 0 – 2 일본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관중: 41,852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4일 (2022-03-24)
19:00 UTC+7
베트남 0 – 1 오만미딘 국립경기장, 하노이
관중: 6,923명
심판: 한나 하타브 (시리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 Al-Hajri  65′
2022년 3월 24일 (2022-03-24)
19:00 UTC+4
중화인민공화국 1 – 1 사우디아라비아샤르자 스타디움, 샤르자 (아랍에미리트)[note 8]
관중: 200명
심판: 모함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19:35 UTC+9
일본 1 – 1 베트남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관중: 44,600명
심판: 일기즈 탄타셰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20:00 UTC+4
오만 2 - 0 중화인민공화국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심판: 아드함 마카드메 (요르단)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2022년 3월 29일 (2022-03-29)
21:00 UTC+3
사우디아라비아 1 - 0 오스트레일리아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지다
심판: 고형진 (대한민국)
리포트 (FIFA)
리포트 (AFC)

득점 선수

48경기에서 총 101골이 터졌고, 2 골이 자책골이었다.

4 골
3 골
2 골
1 골
1 자책골

국내 중계

같이 보기

각주

내용주
참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