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연쇄상구균의 한 종
(B군 연쇄상구균에서 넘어옴)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Streptococcus agalactiae) 또는 B군 연쇄상구균(group B streptococcus, GBS)는 사슬 모양으로 증식하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연쇄상구균의 일종이다. 베타용혈성, 카탈레이스 음성을 보이며, 조건혐기성 미생물이다.[1][2]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생물 분류ℹ️
역:세균
문:후벽균문
강:간균강
목:유산균목
과:연쇄상구균과
속:연쇄상구균
종: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
학명
Streptococcus agalactiae
Lehmann and Neumann, 1896
36°C의 혈액 배지상에서 18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베타용혈성 콜로니가 형성되었다.

레베카 랜스필드 분류군 B에 속하는 유일한 연쇄상구균이다. 외다당류로 구성된 세균 협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협막의 면역 반응성에 따라 10개의 혈청형(Aia, Ib, II–IX)으로 다시 나뉜다.[1][3][4]

일반적으로 무해한 편리 공생 세균으로, 성인 인구 30%의 위장관에서 미생물군을 형성하나 대부분 무증상 보균자로 남아있는다. 그러나 신생아, 노인, 면역체계가 손상된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침습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5]

다양한 동물들에게서 흔히 관찰되는데, 젖소에서 유선염을 일으킬 수 있다. "우유가 없다"는 뜻의 "아갈락티아agalactiae"라는 이름 역시 여기서 따온 것이다.[6]

분류학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는 협막 다당류를 기준으로 9가지 혈청형(Aia, Ib, II-VIII)으로 구분되어왔는데,[7] 2007년에 10번째 혈청형이 발견되었다.[8] 미국에서 임산부를 제외하고 침습성 질병을 유방하는 가장 흔한 혈청형은 2005~2006년에 29%를 차지한 V형으로, Ia, II, III형이 그 뒤를 잇는다.[9] 캐나다 앨버타주에서 2003~2013년의 침습성 B군 연쇄상구균 감염증 사례를 연구한 결과에서는 III형이 20%로 가장 지배적이며, 그 다음이 19%를 차지하는 V형, 19%의 Ia형, 13%의 Ib형, 11%의 II형인 것으로 드러났다.[10]

감염률

일반적으로 장이나 에서 발견되며, 임산부를 포함한 건강한 성인 인구 30%에서 감염되나 무증상으로 남아있는다.[3][11] GBS 군집은 영구적이거나, 간헐적이거나, 일시적일 수 있다. 여성의 질에서 군집을 이룬 확률은 0%에서 36%까지 다양하게 보고되는데, 활발한 성생활을 하는 경우 20% 이상의 감염률이 나타난다.[12] 전 세계 산모의 18%가 감염된 것으로 보이며, 11%에서 35%까지 다양한 지역적 편차가 나타났다.[13]

신생아 감염

비록 대부분의 경우 무증상으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임신 중이나 출산 후의 산모와 아기에게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다. 산모의 GBS 감염은 드물게 융모양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산후 감염이나 태아 사망과도 관련이 있다.[14]

신생아의 GBS 감염증은 조기발병(GBS-EOD)과 말기발병(GBS-LOD)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GBS-EOD의 경우 대부분 생후 0~7일 사이에 나타나며 보통 24시간 이내에 뚜렷이 나타난다.[3][15][16] GBS-LOD는 출생 후 7일에서 90일 사이에 시작한다.

예방

산모에게 페니실린 또는 앰피실린정맥 주사하여서 수직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만일 산모가 페니실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면 세파졸린, 클린다마이신, 반코마이신 등으로 영아의 EOD를 예방할 수 있다.[15][16]

성인 감염

성인에게 감염되어 당뇨, 간경변, 암 등을 앓고 있는 환자나 노인들에게서 심각한 질병을 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니실린을 통해 치료하며,[17][18] 페니실린 G나 앰피실린과의 상승 효과를 노리고 젠타마이신을 투여하기도 한다.[17]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