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즐리센트럴 (영국 의회 선거구)

반즐리센트럴 (Barnsley Central)은 영국 의회하원에서 지역을 대표하는 사우스요크셔주선거구이다. 2011년부터 노동당의 댄 자비스 의원이 지역구 의원을 맡고 있다. 선거비용보전과 선관위원 유형 면에서는 자치주 선거구로 분류된다.

반즐리센트럴
Barnsley Central
영국 하원자치주 선거구
윤곽도
사우스요크셔주 내 반즐리센트럴 선거구의 경계
윤곽도
잉글랜드 내 사우스요크셔주의 위치.
지방사우스요크셔주
인구85,714명 (2011년 인구총조사)[1]
유권자 수64,229명 (2019년 12월)[2]
주요 도시반즐리, 웨이크필드
현 선거구
생성연도1983년
국회의원댄 자비스 (노동당)
의원 수1인
이전 선거구반즐리, 웨이크필드
중복되는 선거구

지역 정보

반즐리센트럴은 도시 지역구이며 주민의 절대다수가 중하위권 소득층이다. 옛 탄광촌의 공공주택단지가 거의 대부분 속해 있다.[3] 1983년 지역구 신설 이래 노동당 후보가 당선되어 왔으며 텃밭 지역구로 분류된다. 다만 2019년 영국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우위격차 득표율이 9.7%까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역사

1983년 영국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옛 반즐리 지역구를 거의 포괄하고 있다. 역대 국회의원이 모두 노동당 소속이었지만 2010년 5월 에릭 일슬리 의원이 비용 문제로 노동당에서 제명되면서 무소속 지역구가 되었고, 2011년 2월 8일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4]

2011년 1월 12일 일슬리 의원은 지출 관련 사기죄 혐의를 인정하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할 뜻을 밝히고, 2011년 초 재보궐선거를 예고하였다.[5] 2월 8일에는 국회의원 경비 부정청구 혐의로 선고를 앞두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였다.[6] 2011년 3월 3일 열린 재보궐선거 결과는 노동당의 댄 자비스 후보가 당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총선보다 20% 낮은 투표율을 기록한 이 선거에서 노동당은 득표율은 물론 우위격차도 압도적으로 벌려나간 반면, 보수당은 8.3%만 득표하여 영국 독립당의 12.2%보다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7] 2019년 총선에서 자비스 의원은 재선에 성공하였으나 우위격차는 종전의 15,546표에서 3,571표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대신 브렉시트당 후보가 11,233표 (30.4%)를 득표하여 자비스 후보의 40.1%에 근접하였다.

경계

1983–1997년: 반즐리구 아즐리, 아서슬리, 센트럴, 몽크브레턴, 노스웨스트, 로이스턴, 사우스웨스트

1997–2010년: 반즐리구 아즐리, 아서슬리, 센트럴, 몽크브레턴, 노스웨스트, 로이스턴, 사우스웨스트

2010년~: 반즐리구 센트럴, 다턴이스트, 킹스톤, 몽크브레턴, 올드타운, 로이스턴, 세인트헬렌스

반즐리센트럴 지역구는 반즐리시 대부분을 포괄한다. 웨이크필드, 헴스워스, 반즐리이스트, 페니스톤 스톡스브리지와 접한다.

국회의원

선거의원[8]정당
1983년로이 맨슨노동당
1987년에릭 일슬리
2010년무소속[4]
2011년댄 자비스노동당

선거

선거선거 결과후보정당득표%±%
2019년 총선
[9]
투표수: 36,903 (56.5%) (-4.1)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3,571 (9.7%) -30.1
-27.1% 선회
댄 자비스노동당14,80440.1-23.8
빅토리아 펠턴 브렉시트당11,23330.4신인
이프티카 아흐메드 보수당7,89221.4-2.7
윌 새프웰 자유민주당1,1763.2+1.8
라이언 윌리엄스 요크셔가 우선7101.9신인
도널드 우드 무소속1880.5신인
2017년 총선
투표수: 39,089 (60.6%) (+3.9)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5,546 (39.8%) +5.8
-0.48% 선회
댄 자비스노동당24,98263.9+8.2
아만다 포드 보수당9,43624.1+9.1
게빈 펠턴 영국 독립당3,3398.5-13.2
리치먼드 트로트맨 녹색당5721.5-1.1
데이비드 리지웨이 자유민주당5491.4-0.7
스티븐 모리스 잉글랜드 민주당2110.5-0.8
2015년 총선
[10][11]
투표수: 36,560 (56.7%) (+0.2)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2,435 (34.0%) +4.0
-4.3% 선회
댄 자비스노동당20,37655.7+8.4
리 헌터 영국 독립당7,94121.7+17.1
케이 카터 보수당5,48515.0-2.3
마이클 쇼트 녹색당9382.6신인
존 리지웨이 자유민주당7702.1-15.2
데이브 깁슨 노동조합원 사회주의 연합5731.6신인
이언 서튼 잉글랜드 민주당4771.3신인
2011년 재보궐
[12]
투표수: 24,219 (36.5%) (-20.0)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1,771 (48.6%)
댄 자비스노동당14,72460.8+13.5
제인 콜린스 영국 독립당2,95312.2+7.5
제임스 호크니 보수당1,9998.3= -9.0
에니스 달튼 브리튼 국민당1,4636.0-2.9
토니 디보이 무소속1,2665.2+3.6
도미닉 카먼 자유민주당1,0124.2-13.1
케빈 리들러프 잉글랜드 민주당5442.2신인
하울링 라우드 호프 괴수 발광 괴짜당1980.8신인
마이클 볼 데이비스 무소속600.2신인
2010년 총선
[13][14]
투표수: 37,001 (56.5%) (+8.8)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1,093 (30.0%) -14.5
에릭 일슬리노동당17,48747.3-10.4
크리스토퍼 위건 자유민주당6,39417.3+0.7
피어스 템페스트 보수당6,38817.3+4.0
이언 서튼 브리튼 국민당3,3078.9+4.4
도널드 우드 무소속7322.0-2.1
토니 디보이 무소속6101.6신인
테런스 로빈슨 틀:정당색/영국을 확인해 주세요3561.0신인

2019년 총선 당시 브렉시트당의 득표율은 반즐리센트럴 선거구의 결과가 전국 최대치였다. 또 반즐리센트럴 지역구에서 노동당 이외의 후보로는 최다 득표율을 기록했다.

2000년대

선거선거 결과후보정당득표%±%
2005년 총선
[15][16]
투표수: 28,615 (47.2%) (+1.4)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2,732 (44.5%) -10.4
5.2% 선회
에릭 일슬리노동당17,47861.1-8.5
밀스 크롬프턴 자유민주당4,74616.6+1.9
피터 모럴 보수당3,81313.3+0.2
조프리 브로들리 브리튼 국민당1,4034.9신인
도널드 우드 무소속1,1754.1신인
2001년 총선
[17][18]
투표수: 27,543 (45.8%) (-13.9)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5,130 (54.9%) -12.7
+6.3% 선회
에릭 일슬리노동당19,18169.6-7.4
앨런 하틀리 자유민주당4,05114.7+5.2
이언 매코드 보수당3,60813.1+4.0
헨리 래치 사회주의연맹7032.6신인

1980~1990년대

선거선거 결과후보정당득표%±%
1997년 총선
[19][20][21][22]
투표수: 36,485 (59.7%) (-10.8)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24,501 (67.2%) +17.6
+7.5% 선회
에릭 일슬리노동당28,09077.0+6.2
사이먼 거터리지 보수당3,5899.1-8.7
대런 핀리 자유민주당3,4819.5-1.2
제임스 월시 국민투표당1,3253.6신인
1992년 총선
[23][24]
투표수: 39,056 (70.5%) (+0.5)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9,361 (49.6%) +0.9
0.5% 선회
에릭 일슬리노동당27,04869.3+2.5
데이비드 N. 시니어 보수당7,68719.7+1.6
스티븐 R. 카우턴 자유민주당4,32111.1-4.1
1987년 총선
[25][26]
투표수: 37,548 (70.0%) (+3.7)
노동당 유지
과반 득표: 19.051 (48.7%) +9.9
에릭 일슬리노동당26,13966.8+7.0
비비언 프레이스 보수당7,08818.1-2.9
수전 홀랜드 자유당5,92815.1-4.0
1983년 총선
[27][28]
투표수: 36,532 (66.3%)
노동당 승리
과반 득표: 14,173 (38.8%)
로이 맨슨노동당21,48759.8
하워드 S. 올드필드 보수당7,67421.0
수전 홀랜드 자유당7,67421.0

같이 보기

  • 사우스요크셔주의 의회 선거구 목록

각주

내용주
참조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