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작

(오작에서 넘어옴)

악작(惡作,산스크리트어: kaukṛitya,kaukritya,팔리어: kukkucca,영어: regret,worry) 또는 ()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Kaukritya의 번역
한국어악작, 오작, 회
(로마자: akjak, ojak, hoi)
영어regret
worry
산스크리트어kaukritya, kaukṛitya
팔리어kukkucca
중국어惡作 (T) / 恶作 (S)
悔 (T) / 悔 (S)
티베트어འགྱོད་པ།
(Wylie: 'gyod pa;
THL: gyöpa
)
불교 용어 목록

악작(惡作)은 후회(後悔)를 뜻하며, 후회를 전통적인 불교용어로는 추회(追悔)라고 한다. 간단히, (悔)라고도 한다. 또한, 이전의 잘못된 행위를 후회한다는 뜻의 악작(惡作: 즉, 잘못된 행위 → 후회)은 이전의 잘못된 행위를 염오(厭惡) 또는 혐오(嫌惡)한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가 있는데, 이 입장에서는 오작(惡作: 지은 것을 미워함, 잘못된 행위를 미워함)이라고도 한다.[14][15][16][17][18][19][20]

이 낱말들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 후회(後悔): 이전의 잘못을 깨치고 뉘우침, 일이 지난 뒤에 잘못을 깨치고 뉘우침[21][22]
  • 추회(追悔): 후회함, 지난 일을 뉘우침[23][24]
  • (悔): 뉘우침, 후회[25]

정의

부파불교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악작(惡作) 또는 (悔)는 행한 일[作事]에 대해 후회[後悔, 追悔]하게 하는 마음작용이다. 또한,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행하지 않은 일[未作事, 不作事]에 대해 후회하게 하는 것도 악작(惡作) 또는 회(悔)의 마음작용에 포함된다.[16][17][26]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37권에서는 악작으로 다음의 4가지를 들고 있다.[26]

  1. 이미 지은 악행을 후회하는 것
  2. 이미 지은 선행을 후회하는 것
  3. 이미 지은 악행을 철저히 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는 것
  4. 이미 지은 선행을 철저히 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는 것

아비달마구사론》 제4권에서는 《아비달마대비바사론》의 4가지에 다음 2가지를 더하여 총 6가지를 들고 있다.[26]

  1. 선행을 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것
  2. 악행을 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는 것

대승불교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성유식론》에 따르면, 오작(惡作) 또는 (悔)는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행한 일[所作業]을 미워[惡]하게 하고 후회[追悔]하게 하는 것을 본질적 성질[性]로 하는 마음작용이다.그리고 오작(惡作) 또는 회(悔)의 마음작용은 이러한 본질적 성질을 바탕으로 마음으로 하여금 사마타[止, śamatha, 奢摩他, 삼마지]에 들지 못하도록 장애하는 것을 본질적 작용[業]으로 한다. 또한, 《성유식론》에 따르면, 행하지 않은 일[所不作業]에 대해 후회하게 하는 것도 오작(惡作) 또는 회(悔)의 마음작용에 포함된다.[18][19][20][27][28][29]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K.650,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50(18-707), T.99(2-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권오민 (2003). 《아비달마불교》. 민족사.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중국어)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T.99). 《잡아함경(雜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2, No. 9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2). 《현양성교론(顯揚聖教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4).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4,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안혜 조, 현장 한역 (T.1606).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6,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