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중국어(한국 한자: 中國語) 또는 중문(중국어: 中文, 병음: zhōngwén)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군으로 한어(중국어 정체자: 漢語, 간체자: 汉语, 병음: hànyǔ 한위[*], ㄏㄢˋㄩˇ), 화어(중국어 정체자: 華語, 간체자: 华语, 병음: huáyǔ), 중어(中語)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에 가장 많은 사용자가 있으며, 각지의 중국계 이주민들도 쓴다. 중국에서는 보통 중문(中文)으로 부르며 이러한 명칭은 현대 중국어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오해될 우려가 있으므로 역사적으로 그것까지 통틀어 일컬을 경우에는 한어(漢語)라고도 한다.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싱가포르 , 대만 등 |
---|---|
사용 지역 | 동아시아 |
사용 민족 | 중국인 |
언어 인구 | 약 12억 명 |
어순 | 주어-서술어-목적어 (SVO) 형용사-명사 전치사 사용 |
순위 | 1위 (모국어 기준) |
문자 | 한자(정체자, 간체자)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중화인민공화국 |
표준 | PRC: 국가언어문자작업위원회 (중국어 간체자: 国家语言文字工作委员会) HKG: [1] (중국어 정체자: 語文教育及研究常務委員会) MAC: (중국어 정체자: 教育暨青年局語言推廣中心) ROC: [2] (중국어 정체자: 教育部終身教育司) SIN: 추광화어이사회 (중국어 간체자: 推广华语理事会) MAS: (중국어 간체자: 华语规范理事会) |
언어 부호 | |
ISO 639-1 | zh |
ISO 639-2 | chi (B)zho (T) |
ISO 639-3 | 다수: cdo – 민둥어(閩東語)cjy – 진어(晉語)cmn – 북방어(北方語)cpx – 보선어(莆仙語)czh – 후이어(徽語)czo – 민중어(閩中語)dng – 둥간어(東干語)gan – 간어(贛語)hak – 하카어(客家語)hsn – 샹어(湘語)mnp – 민베이어(閩北語)nan – 민난어(閩南語)wuu – 우어(吳語)yue – 광둥어(粵語)zho – 표준 중국어(標準中國語) |
국가에 따른 중국어 사용자 수 |
중국어는 단일의 언어라기보다는 방언연속체로 이루어진 제어(諸語)이며, 학자에 따라 다르나, 방언은 크게 10개 정도로 나뉜다. 따라서 중국어라 하면 좁은 의미로는 베이징관화에 기반한 현대 표준 중국어만을 가리키기도 하고, 넓은 의미로는 관련된 언어변이형 전체를 가리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베이징 등지의 방언이자 가장 많은 구사자를 보유한 관화(官話; Mandarin), 상하이 등지에서 쓰이는 오어(吳語), 남부의 민어(閩語), 광둥어 등이 있다.
현대 중국어는 고전 문학에 사용되는 한문과는 문법과 어휘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현대 중국어에는 Social(社会) , rebound(反弹), Electricity(电气) 등 근대에 도입된 많은 번역 어휘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한자(漢字)라는 문자로 표기되는데, 이는 고대의 상형문자 갑골문을 기반으로 한 표어문자로서 그 수가 매우 많으며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발음을 표기할 때에는 한자에서 따온 주음부호와 로마자를 이용한 한어 병음이 사용된다.
현대 중국어는 성조가 존재하며, 성조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바뀌기도 한다. SVO 어순을 따르며, 형태소가 굴절없이 단어를 이루어 어순에 따라 문법적 역할이 결정되는 고립어이다
분류
역사적 분류
중국어를 역사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상고 한어: 주나라와 진나라와 한나라의 한어
- 중고 한어: 남북조와 당나라의 한어
- 중세 한어: 오대십국과 송나라의 한어
- 근대 한어: 원나라, 명나라와 청나라의 한어
- 현대 한어: 현대 중화권에서 쓰는 한어
계통학적 분류
중국어 제(諸) 방언의 특징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면서 방언을 쓰는 집단 간에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각 언어변이형을 방언으로 취급하느냐 아니면 개별의 언어로 취급하느냐 하는 데에는 논란이 있다. 다만, 한자 및 한문이라는 공통된 문어의 기반 위에서는 중국어 제방언을 아우르는 상호의사소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중국어 제방언을 공통된 언어로 묶는 역할을 한다.
- cmn — 관화(官話) 또는 북방화(北方話): 모어 화자 8억 명 이상의 중국어 최대 방언이다. 영어 명칭에 따라 만다린어(Mandarin語)라고도 한다.
- 푸젠어(閩語): 푸젠성(福建省)과 중화민국에서 5000만명.
- gan — 간어(贛語): 장시성(江西省)에서. - 2000만 명
- hak — 학가어(客家語): 광둥성 북부와 여러 나라의 화교 집단. - 3500만 명
- hsn — 샹어(湘語): 후난성 (湖南省)에서. - 3500만 명
- wuu — 우어(吳語): 중국 동부에서. - 9000만 명
- yue — 웨어(광둥어 등)(粵語, 廣東話, ): 홍콩, 마카오, 광둥성, 광시 좡족 자치구의 일부 및 해외중국인. - 8000만명
- dng — 둥간어(東干語):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둥간족.
- 핑어(平語) - 좡족.
- czh - 후이어(徽語) - 우어 혹은 간어의 일부로, 안후이성(安徽省)에서.
음운
중국어는 성조어이다. 음절소리의 고저의 차이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의미를 구별하고 있다. 이것을 성조라고 한다. 예를 들면 표준 중국어에는 {ma}라고 하는 형태소는 경성도 포함해서 19개나 있다[2]. 하지만 음평성(陰平聲), 양평성(陽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의 4개의 성조와 경성이 있어서 모든 것이 같은 발음은 되지 않는다.
문법
어형변화(활용)가 일어나지 않고, 어순이 의미를 해석할 때의 중요한 결정적인 근거가 되는 고립어이다. 고립적인 특징을 가진 언어로서는 그 밖에 영어 등이 있다. 기본어순은 주어-서술어-목적어형(SVO)이다. 하지만, 현대북방어나 문어에서는 把나 将(將), 以에 의한 목적격 표시 등이 있으며, 주어-서술어-목적어→주어-목적어-서술어 형의 문장을 만들 수가 있으며, 게다가 교착어에 가까워져 있다.
예
- 표준중국어의 문법:
我 去 图 书 馆 看 书 。(我去圖書館看書。)(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다.)- 상하이어의 문법: 我到图书馆看书。
현대 중국어에서는 일본어처럼 동사의 전후나 문말에 조사, 조동사가 온다. 예를 들면 了는 동사에 붙으면 완료(perfect)를 표시하는 상(相, aspect)을 나타내며, 문말에 붙으면 법성(法性, modality)을 나타낸다.
중국어에는 시제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은 존재하며, 동사에 了(완료), 过(過)(경험), 着(著)(진행)을 붙이는 것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我 昨 天 去 了 电 影 院 。(我昨天去了電影院。) (어제 영화관에 갔었다.)
또, 격에 의한 어형변화는 없는 것이 고립어의 특징이다. 따라서 중국어에도 명사나 형용사에 격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격은 어순에 의해서 나타내어진다.
예1인칭단수의 인칭대명사 我
사용 국가 및 지역
중국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 |
---|---|
공용어는 아니지만 중국어를 사용하는 국가 | |
말레이시아 | 인구의 약 20~25%가 사용한다. 준중화권 국가. |
태국 | 인구의 약 10%가 사용한다. 준중화권 국가. |
인도네시아 | 인구의 약 4%가 사용한다. 준중화권 국가. |
필리핀 | 일부 지역에서 통용. |
브루나이 | 일부 지역에서 통용되며, 소수 중국계가 많이사용. |
프랑스 | 대도시의 일부 중국계 주민에 의해서 사용. |
영국 | 대도시의 일부중국계주민에 의해서 사용. |
캐나다 | 일부 차이나타운 지역에서 사용. |
오스트레일리아 | |
러시아 | 일부 중국계 주민에 의해서 사용. |
표기
중국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표의 문자로 로마자나 한글 같은 표음 문자와 달리 의미에 초점이 맞추어져 발음을 표기하는 데는 상당한 제약이 있다. 그래서 외국의 지명, 인명 등 고유명사는 그 지역의 원래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가차(假借)[3]하여 쓰거나, 간혹 그 용도와 특징을 한자어로 번역하여 (예컨대 컴퓨터를 電腦(전뇌)로 번역) 어휘를 도입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