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 (불교)

(정생희락지에서 넘어옴)

불교에서 (地, 산스크리트어: bhūmi)는 다음의 뜻이 있다.

  • 3계9지(三界九地) · 3지(三地) · 10지(十地) 등에서의 지(地)와 같이, 유정(有情)이 머무는 장소(場所, place) · 경지(境地, stage, degree) 또는 계위(階位, stage, degree, level, rank)를 말한다.[1][2]
  • 대지법(大地法) · 대선지법(大善地法) 등에서의 지(地)와 같이, 마음작용(심소법)이 일어나는 소의처 또는 소행처가 되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을 가리킨다.[3][4]

이 문서는 첫 번째의 3계9지(三界九地) 또는 3지(三地)로서의 지(地)에 대해 다룬다.

(地, 산스크리트어: bhūmi)는 불교세계관 또는 우주론에서 유정(有情)이 머무는 장소를 말한다. 이런 뜻에서 지(地)라고 할 때면 보통 3계9지(三界九地) 또는 3지(三地)를 가리킨다.[5][2]

9지(九地)와 3지(三地)는 모두 3계(三界)를 나름의 기준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2] '지(地)'유정(有情)의 경지, 마음 상태, 또는 생존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6]

3계9지

3계

3계9지(三界九地)에서 3계(三界)는 욕계(欲界) · 색계(色界) · 무색계(無色界)를 말한다.[7]

9지

3계9지(三界九地)에서 9지(九地)는 욕계 전체를 통틀어 1가지 장소[地]와, 색계초선(初禪) · 2선(二禪) · 3선(三禪) · 4선(四禪)의 4가지 장소[地]와, 무색계공무변처(空無邊處) · 식무변처(識無邊處) · 무소유처(無所有處) ·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의 4가지 장소[地]를 합한 총 9가지 장소[地]를 말한다.[8][2]

이들 9지(九地)를 별도의 용어로 앞의 순서대로 욕계오취지(欲界五趣地) ·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라고 한다.[9][7]

9지(九地)의 각각은 다음과 같다.[6][10]

욕계오취지

욕계오취지(欲界五趣地)는 9지(九地) 중 제1지이다. 오취잡거지(五趣雜居地)라고도 한다.[11][12]
욕계(欲界) 안에 있는 지옥 · 아귀 · 축생 · 인간 · 천상5취(五趣)를 합하여 1지(地)로 한 것으로 미혹한 생존의 상태이다.[13][14]

이생희락지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산스크리트어: nānātva-kāyā ekatva-saṃjñinaḥ tad yathā devā brahma-kāyikāḥ prathamābhinirvṛttāḥ)는 9지(九地) 중 제2지이다.[15]
색계초선천(初禪天)을 말하며, 욕계를 떠남[離]으로서 생기[生]는 기쁨[喜]과 즐거움[樂]을 느끼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16][17][18]
선정 수행의 입장에서는 색계의 4선(四禪) 가운데 첫 번째인 초선(初禪)에 해당하며, 4선을 4정려(四靜慮)라고도 하는데 이 표현상으로는 제1정려(第一靜慮)에 해당하는데, 제1정려를 전통적인 표현으로는 초정려(初靜慮)라고 한다.[19][20][21]
구사론》제8권과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범중천(梵衆天) · 범보천(梵輔天) · 대범천(大梵天)의 세 하늘색계 초선천에 속한다.[22][23][24]
색계 초선천의 세 하늘을 통칭하여, 음역하여 범가이천(梵加夷天, 산스크리트어: Brahman-kāyika-deva)이라고도 하고 의역하여 범신천(梵身天)이라고도 한다. 또는 간단히 범천(梵天, 산스크리트어: Brahmā, Brahmadeva)이라고도 한다.[25][26][27][28][29][30][31]

정생희락지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는 9지(九地) 중 제3지이다.[32][33]
색계2선천(二禪天)을 말하며, 선정[定]으로부터 생기[生]는 기쁨[喜]과 즐거움[樂]을 느끼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제2선천(第二禪天)이라고도 한다.[34][35]
선정 수행의 입장에서는 색계의 4선(四禪) 가운데 두 번째인 2선(二禪)에 해당하며, 2선을 제2선(第二禪)이라고 한다. 4선을 4정려(四靜慮)라고도 하는데 이 표현상으로는 제2정려(第二靜慮)에 해당한다.[36][20][37][38]
구사론》제8권과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소광천(少光天) · 무량광천(無量光天) · 극광정천(極光淨天)의 세 하늘색계 2선천에 속한다. 다만, 《천태사교의》에서는 극광정천(極光淨天)을 광음천(光音天)이라고 부르고 있다.[39][40][41]
색계 2선천의 세 하늘을 통칭하여 광천(光天) 또는 아위화천(阿衛貨天)이라고도 한다.[42][43][44][45][46] 또는, 2선천의 제3천인 광음천(光音天)으로 2선천을 통칭하기도 한다.[47][48]

이희묘락지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산스크리트어: ekatva-kāyā ekatva-saṃjñinaḥ tad yathā devāḥ śubha-kṛtsnāḥ, niṣprītika-sukha-maṇḍa)는 9지(九地) 중 제4지이다.[49][50][51]
색계3선천(三禪天)을 말하며, 2선천(二禪天)의 기쁨[喜]을 떠나[離]는 경지로 마음이 안정되어 묘한 즐거움[妙樂]을 느끼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제3선천(第三禪天)이라고도 한다.[52][53][54]
선정 수행의 입장에서는 색계의 4선(四禪) 가운데 세 번째인 3선(三禪)에 해당하며, 3선을 제3선(第三禪)이라고 한다. 4선을 4정려(四靜慮)라고도 하는데 이 표현상으로는 제3정려(第三靜慮)에 해당한다.[55][20][56]
구사론》제8권과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소정천(少淨天) · 무량정천(無量淨天) · 변정천(遍淨天)의 세 하늘색계 3선천에 속한다.[57][58][59]
색계 3선천의 세 하늘을 통칭하여 정천(淨天) 또는 수피근천(首皮斤天)이라고도 한다.[60][61][44][62][63] 또는, 3선천의 제3천인 변정천(遍淨天)으로 3선천을 통칭하기도 한다.[64][65]

사념청정지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는 9지(九地) 중 제5지이다.[66][67][68]
색계4선천(四禪天)을 말하며, 3선천(三禪天)의 묘한 즐거움을 떠나는 경지로, 마음이 평온하여 생각[念]이 청정(淸淨)하고 평등한 경지, 즉 마음사수(捨受)의 생각[念]에 안주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제4선천(第四禪天)이라고도 한다.[69][70]
선정 수행의 입장에서는 색계의 4선(四禪) 가운데 네 번째인 4선(四禪)에 해당하며, 4선 즉 '네 번째 선(禪)'을 제4선(第四禪)이라고 한다. 4선 즉 '4가지 선(禪)'을 4정려(四靜慮)라고도 하는데 이 표현상으로는 제4정려(第四靜慮)에 해당한다.[71][20][72]
구사론》 제8권과 《천태사교의》에 따르면, 무운천(無雲天) · 복생천(福生天) · 광과천(廣果天) · 무상천(無想天) · 무번천(無煩天) · 무열천(無熱天) · 선현천(善現天) · 선견천(善見天) · 색구경천(色究竟天)의 아홉 하늘색계 4선천에 속한다. 다만, 《구사론》 등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무상천은 광과천의 특정 영역에 대한 명칭일 뿐으로 별도의 하늘이 아니다. 무상천 위의 다섯 하늘무번천 · 무열천 · 선현천 · 선견천 · 색구경천을 통칭하여 5정거천(五淨居天)이라 한다.[73][74][75]
색계 4선천의 아홉 하늘을 통칭하여 광천(廣天) · 밀신천(密身天) · 엄식천(嚴飾天) 또는 비호파천(比呼破天)이라고도 한다.[76][77][78][79] 또는, 4선천의 제3천인 광과천(廣果天) 즉 과실천(果實天)으로 4선천을 통칭하기도 한다.[80][81]

공무변처지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산스크리트어: Ākāśānantyāyatana, 팔리어: Ākāsānañcāyatana)는 9지(九地) 중 제6지이다.[82]
음역하여 아갈선천(阿竭禪天)이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공무변처(空無邊處) · 공무변천(空無邊天) · 공무변처천(空無邊處天) · 공지천(空知天) · 공지천(空智天) · 공처(空處) · 공처지천(空處智天) · 공처천(空處天) · 무변공처(無邊空處) · 무변공처천(無邊空處天) · 무변허공처천(無邊虛空處天) 또는 허공지천(虛空知天)이라고도 한다.[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
무색계의 제1천을 말하며, '무한한 허공[空無邊]'을 체득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무색계에서 (色)의 속박을 싫어하는 마음을 내어 '에 대한 생각[色想]'을 버리고 '무한한 허공[空無邊]'을 (觀)하는 선정을 닦아 체득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무색계 제1천(無色界 第一天)이라고 한다. 4무색정(四無色定) 가운데 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에 해당한다.[99][100][101][102]

식무변처지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산스크리트어: Vijñānānantyāyatana, 팔리어: Viññānañcāyatana)는 9지(九地) 중 제7지이다.[103]
무량식처천(無量識處天) · 무변식처(無邊識處) · 무변식처천(無邊識處天) · 식무변처(識無邊處) · 식무변처천(識無邊處天) · 식무변천(識無邊天) · 식입처(識入處) · 식지(識知) · 식지천(識智天) · 식처지천(識處智天) 또는 식처천(識處天)이라고도 한다.[104][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115][116][117]
무색계의 제2천을 말하며, '마음의 작용이 무한함[識無邊]'을 체득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제6지에서 획득한 '무한한 허공[空無邊]'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마음[識]을 무한히 확장하는 관상(觀想)으로 선정을 닦아 '마음의 무한한 확장[識無邊]'을 체득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무색계 제2천(無色界 第二天)이라고 한다. 4무색정(四無色定) 가운데 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에 해당한다.[118][119][120][121]

무소유처지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산스크리트어: Ākiñcanyāyatana, Ākiṃcanyāyatana, 팔리어: Ākiñcañña-āyatana)는 9지(九地) 중 제8지이다.[122]
음역하여 아인(阿因)이라고도 한다. 의역하여 무소유지천(無所有智天) · 무소유처(無所有處) · 무소유처지천(無所有處智天) · 무소유천(無所有天) 또는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이라고도 한다.[123][124][125][126][127][128][129][130][131][132][133][134][135][136]
무색계의 제3천을 말하며, 식무변처지에서 다시 한 걸음 더 나아가 마음의 작용이 무한하다는 식상(識想)을 버리고, 심무소유(心無所有: 마음이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음, 마음이 그 어디에도 소속 또는 소유되지 않음), 즉 마음[識]의 비존재를 관(觀)하는 선정을 닦아 심무소유(心無所有)를 체득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무색계 제3천(無色界 第三天)이라고 한다. 4무색정(四無色定) 가운데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에 해당한다.[137][138][139][140]

비상비비상처지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산스크리트어: Naiva-sajjñānāsajjñāyatana, 팔리어: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는 9지(九地) 중 제9지이다.[141]
무유사상역부무상(無有思想亦不無想) · 비비상천(非非想天) ·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 · 비상비비상천(非想非非想天) · 유상무상지천(有想無想智天) 또는 유상무상처지천(有想無想處智天)이라고도 한다.[142][143][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154][155]
무색계의 제4천을 말하며, 유상(有想)을 버리는 비상(非想)의 선정과 무상(無想)을 버리는 비비상(非非想)의 선정을 함께 닦아 비상(非想)과 비비상(非非想)을 함께 체득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무색계 제4천(無色界 第四天)이라고 한다. 4무색정(四無色定) 가운데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에 해당한다.[156][157][158][159]
유상(有想)은 앞의 제7지인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를 말하는데, 식무변처지'마음[識]이 무한히 확장되는 것[無邊]'을 관하는 것이므로 유상(有想)이라 하고, 무상(無想)은 앞의 제8지인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를 말하는데, 무소유처지'마음[識]의 비존재[無所有]'를 관하는 것이므로 무상(無想)이라 한다.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는 이들 유상(有想)과 무상(無想)을 다함께 버리고 떠나는 경지 또는 마음 상태이다.[160]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의 상태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는 욕계 · 색계의 거친 생각은 없지만 아주 미세한 생각은 없지 않다.(그래서 이름이 "비상-비비상"(생각이라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생각이 없다고 할 수도 없을 정도로 미세한 생각이라는 의미)이다.) 이 상태를 넘어가면 곧 "상수멸진정"이 되며, 상수멸진정은 붓다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다. 붓다가 아직 보살이었을 때, 이미 비상비비상처지에 도달했으나, 이것이 열반이 아님을 알고 이 수행을 버리고, 독자적으로 수행했다. 또한 상수멸진정도 하나의 유위(有爲 : 조작된 것, 만들어진 것, 형성된 것)의 경지이며, 무위(無爲)인 열반이 아니다. 상수멸진정도 넘어서야 비로소 붓다가 말하는 열반의 경지다.)

3지

3지(三地)는 (尋)과 (伺)의 마음작용이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음에 따른 분류로, 유심유사지(有尋有伺地) · 무심유사지(無尋有伺地) · 무심무사지(無尋無伺地)의 3가지를 말한다.[161] 3지(三地)의 구분은 부파불교대승불교에서 모두 동일하다.[162]

3지(三地)의 각각은 다음과 같다.[162]

유심유사지

유심유사지(有尋有伺地)는 욕계색계초선천에 해당하며, (尋: 尋求, 찾고 탐구함)과 (伺: 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의 마음작용이 모두 있는 상태이다.[162]

무심유사지

무심유사지(無尋有伺地) 색계초선천에서 2선천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 해당하며, (尋: 尋求, 찾고 탐구함)의 마음작용은 없지만 (伺: 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의 마음작용은 있는 상태이다.[162]

무심무사지

무심무사지(無尋無伺地)는 색계2선천부터 그 이상의 지(地)들 모두에 해당하며, (尋: 尋求, 찾고 탐구함)과 (伺: 伺察, 정밀하게 살펴봄)의 마음작용이 모두 없는 상태이다.[162]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무착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K.572,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2(16-157), T.1605(31-66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법립·법거 공역, 번역자 미상 (K.662, T.23). 《대루탄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2(29-756), T.23.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번역자 미상 (K.647, T.1). 《장아함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47(17-815), T.1(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사나굴다 한역, 번역자 미상 (K.660, T.24). 《기세경》.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60(19-263), T.24(1-310).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6, T.1562). 《아비달마순정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6(27-680), T.1562(29-32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황욱 (1999). 《무착[Asaṅga]의 유식학설 연구》. 동국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 (중국어) 무착 조, 현장 한역 (T.1605).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毘達磨集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0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법립·법거 공역 (T.23). 《대루탄경(大樓炭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3,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불타야사·축불념 한역 (T.1). 《장아함경(長阿含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1,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사나굴다 한역 (T.24). 《기세경(起世經)》. 대정신수대장경. T1, No. 24,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제관 록 (T.1931). 《천태사교의(天台四教儀)》. 대정신수대장경. T46, No. 1931,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중현 조, 현장 한역 (T.1562). 《아비달마순정리론(阿毘達磨順正理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6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