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동역

수도권 전철 1, 2호선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전철역

신설동역(Sinseol-dong station, 新設洞驛)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신동종로구 숭인동에 걸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2호선 성수지선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의 전철역이자 환승역이다. 성수지선의 경우 이 역부터 용두역까지 지하 구간이고, 우이신설선의 경우 이 역부터 북한산우이역까지 모두 지하 구간이다. 우이신설선은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한다.

신설동
1호선 역명판
1호선 역명판
2호선(성수지선) 역명판
2호선(성수지선) 역명판
Map
개괄
관할 기관 서울교통공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1
좌표 북위 37° 34′ 28″ 동경 127° 01′ 22″ / 북위 37.57444° 동경 127.02278°  / 37.57444; 127.02278
개업일 1호선 : 1974년 8월 15일
2호선 : 1980년 10월 31일
역 코드 AFC : 156(1호선)/246(2호선)
승강장수 2면 2선
거리표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연천 기점 62.5km
← 125 제기동
(0.9 km)
127 동묘앞
(0.7 km)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성수 기점 5.4km
← 211-3 용두
(1.2 km)
신설동
북한산우이 방향 역명판
북한산우이 방향 역명판
북한산우이 방향 승강장 스크린도어
북한산우이 방향 승강장 스크린도어
Map
개괄
관할 기관 우이신설경전철
소재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왕산로 지하1
좌표 북위 37° 34′ 35.3″ 동경 127° 01′ 23.6″ / 북위 37.576472° 동경 127.023222°  / 37.576472; 127.023222
개업일 2017년 9월 2일
역 번호 L13
승강장수 2면 2선
거리표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 기점 11.0km
← L12 보문
(1.0 km)

역명이 신설역이 아니고 신설동역인데 그 이유는 이때 당시에 도시철도역의 역명에는 '동'자를 붙이는 게 관습이었다. 이 관습에 따라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역들에도 동자를 붙였었는데 관습 폐지에 따라 부산1호선의 역들은 동자를 삭제했다. 그러나 신설동역은 그대로 신설동역을 고수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역을 신설역으로 할 시 단순히 새로 지은 역이라는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자 또한 새로 지었다는 뜻의 新設인지라 더더욱 신설동역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

개요

대한민국 최초 타 도시 철도 노선 간의 환승역으로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가 입·출고를 위하여 입고할 때는 지하 3층 승강장을, 출고할 때는 성수지선을 통과한다. 심야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2편성이 주박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성북천 하저터널로 제기동역과 연결된다. 성수지선정릉천, 성북천 하저터널로 용두역과 연결된다.

역 구조

그 외에 현재 성수지선 승강장 아래 지하 3층에 사용하지 않는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 있다. 군자차량사업소가 완공되기 전까지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메트로 1000호대 VVVF 전동차의 정비소로 사용되었고, 군자차량사업소가 완공됨에 따라 성수지선과 연결되었다. 1980년 10월 31일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종합운동장역 구간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입·출고용 선로로만 사용되었다.[3] 2호선 승강장은 당초 양택식시장 재임 시기에 1호선과 환승되지 않는 별개의 역인 5호선 구청앞역(區廳앞驛)으로 계획되었으나 이후에 취임한 구자춘시장을지로~왕십리 구간에 불과하던 2호선을 거대 순환선으로 전환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 현재 성수지선에 사용되는 승강장은 당시 건설된 5호선승강장을 개축하여 쓰고 있다. 지하 3층에 있는 1면의 승강장은 일명 '유령 승강장'이라고 불리며, 누수가 자주 발생하여 사용을 중지한 상태이다. 이 승강장의 선로는 동묘앞역의 동측에서 분기하는 1호선과의 연결선과 직결되며,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군자차량사업소로 입고 할 때 통과한다.[4] 출입구는 12개이다.[5] 1번~10번 출입구는 용신동에 있고, 11·12번 출입구는 숭인동에 있다.

1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제기동
| |
동묘앞
상행 수도권 전철 1호선청량리 · 광운대 · 의정부 · 양주 · 동두천 · 연천 방면 (일반, 급행)
하행동대문 · 시청 · 서울역 · 인천 · 서동탄 · 신창 방면 (일반, 급행)

2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6]

시·종착역
| |
용두
상행 성수지선신답 · 용답 · 성수 방면
하행당역 종착

이 역은 회차 방식이 상당히 특이한데 우선 당역 종착 열차가 하선(당역 종착) 승강장에 진입해 승객들 전원을 하차시키고, 성수 방면으로 출발해서 선로 변경, 그 후 행선지를 성수행으로 변경 후 상선(성수 방향) 승강장에 진입해서 승객들을 받고, 다시 성수 방면으로 출발한다. 즉, 방향 전환을 한 번만 하는 타 회차역과 달리 세 번이나 하는 셈이다. 마치 초기 수도권 전철 3호선독립문역, 수도권 전철 4호선한성대입구역과 회차 방식이 같다. 이런식으로 회차를 하는 이유는 회차를 위한 건넘선이 성수 방면에만 있고 당역 종착 방면 선로수도권 전철 1호선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2010년까지만 해도 당역 종착 열차는 이 역 진입 전 바로 상행(성수 방향) 승강장으로 진입하였고, 하행(당역 종착) 승강장은 거의 안 썼지만 2011년부터 성수지선 승객의 급증으로 인한 열차 증편 운행으로 당역 종착 열차는 무조건 하행(당역 종착) 승강장에 진입한다.

우이신설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7]

보문
| |
시·종착역
1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당역 종착

북한산우이 방면

2

역 주변

이용객 변동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호선승차27,59323,32021,36520,57520,84120,64117,31816,54716,73617,521[8]
하차28,55924,26621,80420,54920,22119,91016,77215,98716,59017,210
승·하차56,15247,58643,16941,12441,06240,55134,08932,53433,32634,730
2호선승차4,3714,4764,4374,4034,5764,3434,0324,0844,4284,022
하차4,6784,7134,7334,7764,9134,6024,2144,1894,2513,976
승·하차9,0499,1899,1709,1799,4898,9448,2468,2738,6797,998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1호선승차17,85517,95017,35016,80717,00616,93416,48615,87016,016
하차17,40117,34417,01516,42316,68416,51016,14815,50215,668
승·하차35,25635,29434,36533,23033,69033,44432,63431,37231,684
2호선승차3,9033,7753,8003,9294,2094,0094,0904,1354,506
하차3,9183,8123,6833,8594,0333,8603,8443,9394,334
승·하차7,8217,5877,4837,7888,2437,8697,9348,0748,840

사진

인접한 역

서울 지하철 1호선
125 제기동
연천 방면
광운대 방면
청량리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경원선 급행
경부선 완행
경부선 급행
127 동묘앞
인천 방면
서동탄·신창 방면
신창 방면
성수지선
211-3 용두
성수 방면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시·종착역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보문
북한산우이 방면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시·종착역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