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절기)

 황경   절기  양력
315°입춘2/4~5
330°우수2/18~19
345°경칩3/5~6
춘분3/20~21
15°청명4/4~5
30°곡우4/20~21
여름
45°입하5/5~6
60°소만5/21~22
75°망종6/5~6
90°하지6/21~22
105°소서7/7~8
120°대서7/22~23
가을
135°입추8/7~8
150°처서8/23~24
165°백로9/7~8
180°추분9/22~23
195°한로10/8~9
210°상강10/23~24
겨울
225°입동11/7~8
240°소설11/22~23
255°대설12/7~8
270°동지12/21~22
285°소한1/5~6
300°대한1/20~21

대한(大寒)은 24절기 중 제일 마지막이며, 태양황경이 300도가 될 때이다.

양력으로는 1월 20일 내지 1월 21일에 들고, 음력으로는 12월에 든다.

동양에서는 겨울을 매듭짓는 절후로 보아, 대한의 마지막 날을 절분(節分)이라 하여 계절적으로 연말일(年末日)로 여겼다.

풍속에서는 이 날 밤을 해넘이라 하여, 콩을 방이나 마루에 뿌려 악귀를 쫓고 새해를 맞는 풍습이 있다.

기후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에 겨울 추위는 입동에 시작하여 소한이 다가올수록 추워져 대한에 이르면 최고로 추워진다고 한다.
  • 대한민국의 경우 소한이 가장 추운 편이다.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에 언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는 속담 등이 생긴 것도 소한이 보다 춥다는 사실을 잘 표현한다.

입춘

24절기 상으로 대한은 절기의 마지막 단계이며 이는 곧 절기의 최초 시작점인 입춘의 전단계이다.

속담

  • 대한(大寒) 끝에 양춘(陽春) 있다.

기타

  • 대한민국 속담 중에 "대한이 소한의 집에 놀러갔다가 얼어 죽었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에 언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등이 있는데, 기상청 자료를 통해, 최근 30년간 기온을 살펴보면, 서울을 기준으로, 소한이 더 추웠던 때는 15번, 대한이 더 추웠던 때도 15번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앞으로는 기후변화로 대한 추위는 점점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한의 기온 상승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21세기 후반에는 겨울이 크게 줄어들면서, 대한 무렵은 기후적으로 봤을 때 초봄에 가까울 것으로 예측됐다.[1]
  •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2]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