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24절기 중 하나

 황경   절기  양력
315°입춘2/4~5
330°우수2/18~19
345°경칩3/5~6
춘분3/20~21
15°청명4/4~5
30°곡우4/20~21
여름
45°입하5/5~6
60°소만5/21~22
75°망종6/5~6
90°하지6/21~22
105°소서7/7~8
120°대서7/22~23
가을
135°입추8/7~8
150°처서8/23~24
165°백로9/7~8
180°추분9/22~23
195°한로10/8~9
210°상강10/23~24
겨울
225°입동11/7~8
240°소설11/22~23
255°대설12/7~8
270°동지12/21~22
285°소한1/5~6
300°대한1/20~21

하지(夏至)는 24절기 중 하나이며, 태양 황경이 90도가 되는 때이다. 즉, 지구의 자전축하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날이다.[1] 동양의 전통 달력인 24절기중 하나이다.[2] 양력으로는 6월 21일경인데, 북반구에서는 이 시기에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다.[1][3]

하지는 여름의 중간 지점이자 1년 중 가장 더운 날로 여겨진다.[4][5] 하지만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24절기기온(온도)이 가장 높은 날은 입추이다.[6][7][8] 이는 남중고도와 기온이 꼭 비례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같은 시기 남반구에서는 겨울이므로 남중고도가 낮다. 이를 감안해 하지 대신 6월 지점(June solstice)라 하기도 한다.[9]

과거에는 하지를 기념하기도 하였으나 현대에는 거의 기념하지 않는다.[4]

하지날 태양지구의 위치

기후

  • 북반구의 땅표면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아 하지가 지나면서 몹시 더워지고, 장마가 시작된다.

백야

풍속

한나라에서는 하지를 축제로 기념하였다. 하지를 기념하기 위해 위해 당시 사람들은 며칠간 먹고 마시며 기념하였고, 관료들은 며칠간의 휴일을 가졌다.[10]

그러나 동지가 하지보다 더 중요한 절기로 여겨졌고, 더 크게 기념하였다.[10] 송나라의 문인인 방원영(龐元英)은 하지에 3일 쉰 반면, 동지에는 한주를 다 쉬었다고 기록하였다.[10]

양나라에서는 하지날 농부들이 국화잎을 태우고 그 재를 에 뿌려 벌레를 죽이고 식물이 건강히 자라기를 기원했다고 전한다.[10]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에서는 하지기간인 15일을 5일씩 끊어 각각 초후(初候), 차후(次候), 말후(末侯)로 나누었다.[11]

충청도 등 한반도 남부지방에서는 단오 전후에 모내기를 시작해 이때쯤이면 모내기가 끝났다. 그 사이에 비가 오지 않는다면 기우제를 지낸다.[12] 이때 제사는 이장이나 무당이 관장하는데, 소를 잡아 피를 바위에 칠하고, 소의 머리를 소의 배속에 집어넣는 의식을 치르기도 한다. 신성한 지역을 더럽혀놓으면 그것을 씻기 위해 신이 비를 내린다는 신앙의 실현이다.[11]

강원도에서는 하지 전후로 캐는 감자를 '하지감자'라 부른다. 감자를 밥에 넣어 먹으면 감자가 잘 열린다는 믿음이 있다. "하짓날은 감자 캐먹는 날이고 보리 환갑이다."라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 하지가 지나면 보리가 마르기 때문에 그 전에 수확한다. 또한 하지가 지나면 감자 싹이 죽으므로 '감자천신한다'고 하며 감자를 캐내 감자전을 부쳐 먹는다.[12]

기타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및 링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