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한

(응공에서 넘어옴)

아라한(阿羅漢, 산스크리트어: arhat, 팔리어: arahant, 영어: perfected one[1]), 혹은 줄여서 나한(羅漢)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2][3][4]

아라한·응공·무학의 번역
영어arhat
산스크리트어arhat
팔리어arahant
버마어ရဟန္တာ
(IPA: [yahanda])
중국어阿羅漢, 羅漢
(한어 병음ēluóhàn)
일본어阿羅漢, 羅漢
(로마자: arakan)
태국어อรหันต์
베트남어a-la-hán
불교 용어 목록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나한상

산스크리트어 아르하트(arhat)의 음역어로 아라가(阿羅呵) 또는 아라하(阿羅呵)라고도 한다.[5][6] 의역하여 살적(殺賊) · 불생(不生) · 응수공양(應受供養) 또는 응공(應供)이라고도 하며, 더 배워야 할 것 또는 더 알아야 할 것이 있는 유학(有學)의 성자에 대비하여, 성도(聖道)를 모두 성취했기에 더 배워야 할 것 또는 더 알아야 할 것이 없다는 뜻에서 무학(無學) 또는 무학인(無學人)이라고도 한다.[7][8][9][10][11][12]

원래는 부처여래10가지 명호여래10호(如來十號) 또는 불10호(佛十號) 가운데 하나로 부처의 지위증득유정, 즉 부처 또는 여래를 가리키는 호칭이었다. 이후 부파불교 시대에서는 고타마 붓다에 대한 존경이 커져서 부처와 수행자로서의 아라한과는 구분하게 되었고, 성문4향4과의 최고위인 아라한향 · 아라한과유정을 통칭하여 아라한이라고 부르게 되었다.[2][4] 나아가 부파불교에서는 모든 유정성문으로서의 최고위인 아라한은 될 수 있으나 부처가 되지는 못한다는 견해까지 나타났고, 이에 대해 모든 유정성불할 수 있다는 대승불교가 출현하면서 대승불교에서는 아라한이라는 낱말을 부파불교의 폄칭인 소승(小乘) 즉 성문 · 연각의 2승(二乘)의 최고위의 성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하게 되었다.[2]

대승불교의 논서인 《대지도론》 등에서 아라한을 부처의 다른 명칭으로 해설하고 있는 것에서 보듯이,[13][14][주해 1] 아라한은 넓은 뜻에서는 대승불교보살 수행계위부파불교4향4과의 수행계위에서 최고의 계위의 성자를 가리키며, 좁은 뜻에서는 부파불교4향4과의 수행계위에서 최고의 계위의 성자를 가리킨다.[16] 불교 경전과 논서들에서의 아라한의 의미는 이러한 문맥에 따라 달리 해석하여야 한다.

역사

원시불교에서는 불십호(佛十號)의 하나로서 응공이 쓰여져서 불타도 아라한이라고 불렸으나 부파불교에서는 불타에 대한 추모의 염이 높아짐과 동시에 불타를 신격화하는 경향이 강해져서 불타는 과거 수백천생(數百千生)의 장기에 걸쳐서 갖가지 이타(利他)의 선행을 해온 특별한 인격이며 석존 혼자만이 불타로 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자들은 이 인격완성자로서의 불타의 가르침을 듣고(聲聞) 그에 따라서 수행함으로써 성문으로서의 최고위인 아라한으로 될 수 있지만 불타로는 될 수 없다고 했다. 이윽고 모든 사람이 불타가 될 수 있다고 하는 대승불교가 흥기(興起)한 후 아라한은 소승(小乘)의 성자(聖者)에게만 국한하게 되었다.[2]

다른 이름

여래10호(如來十號) 또는 불10호(佛十號)로서의 아라한은 공양을 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을 뜻하는 데서 응공(應供)이라고 번역된다. 일체의 번뇌를 끊고 해야 할 일을 완성하고 다시 더 배울 바가 없다는 뜻에서 무학(無學)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아라한은 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공양을 받을 가치가 있는 아주 높은 경지에 도달한 사람을 말한다.[2]

기타

아라한은 불교의 세계관에서 천신이나 호법신장에게 직접 보호를 받으며 아라한을 살해할 경우 불교에서 가장 무거운 형벌인 아비지옥에 떨어진다.[출처 필요]

같이 보기


내용주

참조주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