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음성 기호
국제 음성 기호(國際音聲記號, 영어: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1] 또는 만국 음성 기호(萬國音聲記號)는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음성 기록 체계를 말한다.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소리를 독자적이고 정확하면서 표준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해 이 기호 체계가 고안되었으며,[2] 언어학자 외에도 언어장애 병리사나 발성 치료사, 외국어 교수자, 말뭉치 연구자, 번역가 등이 일상생활에서 이 기호체계를 활용하고 있다.[3]
국제 음성 기호 (IPA) | |
유형 | 음소 문자 |
---|---|
사용 시기 | 1888년~현재 |
계통 | 로마자 음표 문자 국제 음성 기호 (IPA) |
국제 음성 기호의 기호는 크게 (기본) 문자, 구별기호, 초분절요소 등의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들은 또 다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 문자의 경우 모음과 자음으로 나눌 수 있다. 음성을 표시하는 방법에서 표준화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들은 크게 바뀌지는 않으나 이를 관할하는 국제 음성 협회에 의해 기호가 덧붙여지거나 빠지거나 수정되기도 한다. 2005년에 확장된 후 거의 변하지 않은 지금의 형태는 107개의 기본 문자와 52개의 구별기호, 4개의 초분절요소로 구성되어 있다.[4]
국제 음성 기호는 주로 언어 발화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상(혀의 위치나 조음 방법, 단어나 음절 분절 등)만을 표현할 수 있게끔 되어 있지만[2], 국제 음성 기호 확장형을 통해서 의미와는 무관한 발화 현상(이갈기, 혀짧은 소리 등)도 기록할 수 있게끔 되어 있다.[3]
이러한 국제 음성 기호는 유니코드 문자 U+0250~02AD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변천 과정
1886년에 프랑스의 언어학자 폴 파시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프랑스어와 영어 교사들이 국제 음성 협회를 조직하면서 오늘날 국제 음성 기호라고 부르는 이 기호체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단체가 설립되고 나서 2년 후 국제 음성 협회는 국제 음성 기호의 첫 공식판을 발간했는데, 이 첫 공식판은 헨리 스위트가 고안한 로믹 문자에 기반하여 만든 것이었다.[5][6] 참고로 이 로믹 문자 또한 아주 독창적인 것은 아니며 아이작 피트만과 알렉산더 존 엘리스 등이 만든 포노타입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었다.[7] 이 첫 공식판은 국제 음성 기호의 기본적인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를 잡았으며 이후로 자음과 모음 기호 체계는 대체적으로 이 첫 공식판과 같은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개별 문자 자체에는 몇 차례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1989년 킬 총회에서 몇 가지 수정이 있었고(1932년 이전판 참고), 1993년에도 중설 비원순 중저모음 [ɜ] 추가와 무성 내파음 기호 폐지와 같은 몇 가지 사소한 수정이 있었다[8]. 비교적 최근인 2005년 5월에는 순치 탄음과 같은 기호가 추가되었다.[9]
이러한 개별 기호의 추가나 폐지와는 별개로 기호 명칭이나 분류 방법, 문자체 등의 변경도 있었다.[3] 2016년에는 r-음화 기호인 ⟨ə˞⟩이 ⟨ɚ⟩로 바뀌었고, 상승하강조 기호가 ⟨˦˥˦⟩ (4-5-4)에서 ⟨˧˦˧⟩ (3-4-3)으로 바뀌었다. 2018년에는 상승하강조 기호가 ⟨˧˦˨⟩ (3-4-2)로 다시 고쳐졌다.
국제 음성 기호의 확장형은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1991년에 처음 만들어져서 1997년에 수정, 보완되었다. 또한 1995년에는 발성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기술하기 위해 VoQS (음성 성질 기호, Voice Quality Symbols)가 제안되었다.[10]
쓰임
국제 음성 기호는 언어학자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기호의 경우는 연구 분야 등에 따라서 표준 기호가 아닌 기호로 대체하여 쓰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는 미국계 언어학자들이 ʃ 대신 š를, j 대신 y를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국제 음성 기호는 사전 편찬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일부 국가/언어의 경우 IPA가 아닌 여러 가지 음성기호체계가 통일되지 않은 채 통용되는 경우도 있다.
문자
닿소리
조음 위치 → | 입술(순음) | 혀, 이(설음, 치음) | 어금니(아음) | 후음 | |||||||||||||||
---|---|---|---|---|---|---|---|---|---|---|---|---|---|---|---|---|---|---|---|
조음 방법 ↓ | 양순 | 순치 | 치 | 치경 | 후치경 | 치경구개 | 권설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인두 | 후두개 | 성문 | ||||||
폐 기류 | |||||||||||||||||||
비음 | m | ɱ | n | *ȵ | ɳ | ɲ | ŋ | ɴ | |||||||||||
파열음 | p b | t d | *ȶ *ȡ | ʈ ɖ | c ɟ | k ɡ | q ɢ | ʡ | ʔ | ||||||||||
마찰음 | ɸ β | f v | θ ð | s z | ʃ ʒ | ɕ ʑ | ʂ ʐ | ç ʝ | x ɣ | χ | ʁ | ħ | ʕ | ʜ | ʢ | h ɦ | |||
접근음 | ʋ | ɹ | ɻ | j | ɰ | ||||||||||||||
전동음 | ʙ | r | ʀ | ||||||||||||||||
탄음 | ѵ | ɾ | ɽ | ||||||||||||||||
설측 마찰음 | ɬ ɮ | ɬ̢ ɮ̢ | |||||||||||||||||
설측 접근음 | l | *ȴ | ɭ | ʎ | ʟ | ||||||||||||||
설측 탄음 | ɺ | ||||||||||||||||||
폐외 기류 | |||||||||||||||||||
내파음 | ɓ̥ ɓ | ɗ̥ ɗ | ʄ̊ ʄ | ɠ̊ ɠ | ʛ̥ ʛ | ||||||||||||||
흡착음 | ʘ | ǀ | ǃ | ǂ | |||||||||||||||
설측흡착음 | ǁ |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단 반기식음 h, ɦ는 예외다.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한 곳이다.
- 빈 칸으로 남겨둔 곳은 그에 맞는 기호가 없는 경우다.
- 별표가 붙어 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다.
- 순치 탄음의 기호는 유니코드 5.1에 추가된 관계로 표시가 안 될 수도 있다. 순치 탄음의 공식 기호는 오른쪽에 고리가 달린 소문자 v 모양이다.
- 무성 권설 설측 마찰음의 기호는 유니코드 6.0에 추가된 관계로 표시가 안 될 수도 있다. 공식 기호는 ɭ에 벨트가 달린 형태다.
홀소리
전설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후설 | |
고모음 | |||||
근고모음 | |||||
중고모음 | |||||
중모음 | |||||
중저모음 | |||||
근저모음 | |||||
저모음 |
쌍으로 있는 기호의 경우 왼쪽이 비원순 모음, 오른쪽이 원순 모음이다.
이중조음
ʍ |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w | 유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ɥ̊ | 무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
ɥ | 유성 양순 경구개 접근음 |
ɧ | 무성 치조후 연구개 마찰음 (ʃ과 x을 동시에 조음) |
필요하면 파찰음 및 이중조음은 두 가지 기호를 연결선으로 연결해서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인 6개의 파찰음은 합자로도 제공되나 국제 음성 협회에서는 이를 권장하지 않는다:
합자 | 연결선 | 이름 |
---|---|---|
ʦ | t͡s | 무성 치조 파찰음 |
ʧ | t͡ʃ | 무성 치조후 파찰음 |
ʨ | t͡ɕ | 무성 치조구개 파찰음 |
ʣ | d͡z | 유성 치조 파찰음 |
ʤ | d͡ʒ | 유성 치조후 파찰음 |
ʥ | d͡ʑ | 유성 치조구개 파찰음 |
– | t͡ɬ | 무성 치조 설측 파찰음 |
– | d͡ɮ | 유성 치조 설측 파찰음 |
– | k͡p | 무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
– | ɡ͡b | 유성 양순 연구개 파열음 |
– | ŋ͡m | 양순 연구개 비음 |
- Arial Unicode MS 폰트 사용자의 경우, 폰트의 버그 때문에 다음의 잘못된 조합이 더 잘 보일 것이다. ts͡ tʃ͡ tɕ͡ dz͡ dʒ͡ dʑ͡ tɬ͡ dɮ͡ kp͡ ɡb͡ ŋm͡.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픈 타입 폰트인 Segoe UI를 설치하면 된다.
ˈ | 제1 강세 |
ˌ | 제2 강세 |
ː | 긴 |
ˑ | 반장음 |
˘ | 특별히 짧은 |
. | 음절 경계 |
| | 작은 그룹 (foot) |
‖ | 큰 그룹 (억양) |
‿ | 연결 (경계 없음) |
e̋ 또는 ˥ | 특별히 높은 |
é 또는 ˦ | 높은 |
ē 또는 ˧ | 중간 |
è 또는 ˨ | 낮은 |
ȅ 또는 ˩ | 특별히 낮은 |
ě | 올라간다 |
ê | 내려간다 |
↓e | 다운스텝 |
↑e | 업스텝 |
↗ | 전체적인 상승 |
↘ | 전체적인 하강 |
성조 변화 기호를 조합하여 더 세부적인 표현을 할 수 있지만, 이를 지원하는 폰트는 많지 않다.
하행문자가 있는 글자의 경우는 발음 구별 기호를 위에 적을 수 있다. 예: ŋ̊
n̥ d̥ | 무성음화(Voiceless) | b̤ a̤ | 기식음화 | t̪ d̪ | 치음화 |
s̬ t̬ | 유성음화(Voiced) | b̰ a̰ | 반기식음화 | t̺ d̺ | 설첨음화(Apical) |
tʰ dʰ | 유기음화(Aspirated) | t̼ d̼ | 설순음화(Linguolabial) | t̻ d̻ | 설단음화(Laminal) |
ɔ̹ | 원순화(More rounded) | tʷ dʷ | 순음화(Labialized) | ẽ | 비음화(Nasalized) |
ɔ̜ | 평순화(Less rounded) | tʲ dʲ | 경구개음화(Palatalized) | dⁿ | 비음 방출(Nasal release) |
u̟ | 전설화(Advanced) | tˠ dˠ | 연구개음화(Velarized) | dˡ | 측음 방출(Lateral release) |
i̠ | 후설화(Retracted) | tˁ dˁ | 인두음화(Pharyngealized) | d̚ | 불파음(No audible release) |
ë | 중설 음화(Centralized) | l̴ | 인두음화(Velarized or pharyngealized) | ||
e̽ | 중설 중모음화(Mid-centralized) | e̝ | 고모음화 (ɹ̝ = 치경 마찰음) | ||
ɹ̩ | 성절음화(Syllabic) | e̞ | 저모음화 (β̞ = 양순음 접근음) | pʼ | 방출음화 |
e̯ | 비성절음화(Non-syllabic) | e̘ | 전설 모음화 | ||
ɚ | 치경 접근음 수반 | e̙ | 후설 모음화 |
s͍ | 입술을 더 벌려서 | f͈ | 경음화 | m͊ | 비음성 감소(코로 공기가 덜 빠져나가게 한다.) |
v͆ | 치순음 | v͉ | 연음화 | v͋ | 비음화 (코로 공기가 더 많이 빠져나가게 한다) |
n̪͆ h̪͆ | 치간/관절 위쪽과 아래쪽의 양쪽에 치아 | p\p\p | 반복 조음 | s͌ | 구개 범인두 폐쇄 |
s͇ | 치경음 | s͎ | 휘파람을 불고 조음 | p↓ | 흡기 |
s̼ | 설순음화 | s͢θ | 슬라이딩 조음(s에서 θ로 발음하라는 의미) | !↑ | 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