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어

동슬라브어군의 언어

우크라이나어(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는 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이자 우크라이나 및 기타 지역에서 사용된다. 러시아어 등과 함께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로 표기된다.

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IPA: [ʊkrɐˈjinʲsʲkɐ ˈmɔʋɐ])
사용 국가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기 러시아의 서부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의 남부
사용 지역 동유럽
언어 인구 4700만여 명 (2007)
순위 26위
문자 키릴 문자
언어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우크라이나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우크라이나의 기 우크라이나
트란스니스트리아의 기 트란스니스트리아
표준 우크라이나 국립 과학원
언어 부호
ISO 639-1 uk
ISO 639-2 ukr
ISO 639-3

인도 유럽어족에 속하는 슬라브어파이란어파, 아르메니아어파, 알바니아어파, 발트어파 등과 함께 사템어군에 속한다. 이 중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는 언어적으로 다양한 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다.[1] 13세기까지 동슬라브어은 구분되지 않았으며 방언으로서의 차이만 있는 비교적 단일 언어에 가까웠다.[2] 1056년에서 1057년 사이에 제작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인 오스트르미르 복음서는 동슬라브어의 특징들을 보여준다.[3] 교회어는 점차 문자어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12세기부터는 법령, 공문서. 증명서 등 세속적인 목적에서도 사용되었다.[4]

우크라이나어 및 벨라루스어가 러시아어와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한 것은 14세기경으로 추정되며 동슬라브어의 언어적 통일성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리투아니아에 귀속된 14세기부터 와해되었으나, 16-17세기 사이까지는 우크라이나어 및 벨라루스어는 서로 구분되지 않았다.[5] 상용어로서의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가 교회 슬라브어와 함께 문학어로도 사용된 것은 16세기에서 17세기이다.[6] 현재의 러시아 지역에서는 1720년 교회 문헌 상에서 교회 슬라브어로부터 파생된 러시아 문학어만 사용하라는 명령이 내려오는 등 18세기부터 문학어로서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가 사용되지 않기 시작하였다. 러시아가 리투아니아 영토를 귀속한 18세기 후반에는 예카테리나 2세가 상용어에서도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가 아닌 러시아어만 사용할 것을 명령하였다.

문자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한 우크라이나어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우크라이나어 알파벳
А аБ бВ вà 㥠ґД дЕ еЄ єЖ жЗ зИ и
І іЇ їЙ йК кЛ лМ мН нО оП пР рС с
Т тУ уФ фХ хЦ цЧ чШ шЩ щЬ ьЮ юЯ я
우크라이나어 사용 국가 및 인구
국가사용 인구
우크라이나31,058,000
러시아 (시베리아)4,363,000
카자흐스탄898,000
미국844,026
몰도바600,000
헝가리300,000
벨라루스291,000
캐나다174,830
우즈베키스탄153,000
폴란드150,000
키르기스스탄109,000
슬로바키아100,000
라트비아78,000
루마니아57,593
조지아52,000
리투아니아45,000
타지키스탄41,000
투르크메니스탄37,118
아제르바이잔32,000
파라과이26,000
에스토니아21,320
아르메니아8,000
세르비아2,955

음운

자음

 양순음순치음치음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
파열음p
 
b
 
 t
d
 k
 
파찰음  ʦ
ʦʲ
ʣ
ʣʲ
ʈʂ
 
ɖʐ
 
  
마찰음 f
 
v
 
s
z
ʂ
 
ʐ
 
 x
 
ɣ
 
비음m
 
 n
   
전동음  r
   
접근음  ɫ
 j 

일반적인 키릴 문자로 Г인 /g/가 /x/나 /ɣ/으로 마찰음화 되어 발음되는데,[7] 이는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고지 소르비아어, 벨라루스어, 남부 러시아어, 슬로베니아 일부 방언에서도 발생한다.[8]

문법

우크라이나어는 총 7개의 격을 가지며, 각각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 호격이 있다. 또한 다른 유럽어들과 같이 명사는 성을 가지며, 남성, 여성, 중성 총 3개이다. 이뿐만 아니라, 명사들은 활동체인지 비활동체인지도 나뉜다.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현대 슬라브어와 마찬 가지로, 활성 남성 단수의 대격생격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변화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9] 러시아어, 슬로베니아어, 슬로바키아어, 벨라루스어와는 달리 호격이 남아있다.[10]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