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유

기름야자 열매의 과육을 쪄서 압축 채유되는 식물성 유지

팜유(palm oil)는 기름야자 열매의 과육(함유분 16~20%)을 쪄서 압축 채유되는 식물성 유지이다. 전세계적으로 최고 생산을 보이는 유지 자원이며, 연간 약 5,500만톤 정도가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1] 2011년 기준 대한민국 내 식용 유지 생산 및 소비량은 대두유(약 39만톤) 다음으로 팜유(약 8만톤)가 차지하고 있다.[2]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말레이시아에서 수입하며 가공용 유지, 튀김용 유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름야자 에서 짠 팜핵유와는 다르다.

냉압착한 붉은 팜유(왼쪽)와 색이 없는 팜핵유(오른쪽)
정제 팜유

현재 세계 최대의 팜유 생산자는 말레이시아 출신의 싱가포르 재벌 쿡 쿤 홍이다.

특징

팜유는 식물성 유지이지만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약 1:1 비율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상온에서 반고체 형태를 유지한다.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C16:0 Palmitic acid) 함량이 약 45%, 올레인산(C18:1 Oleic acid) 약 35%, 리놀레산(C18:2 linoleic acid) 약 10% 정도이다.팜유의 포화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팔미트산은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지 않는다.[3]또한 팜유의 경우 가공식품에 사용하는 포화지방인 대두 경화유나 야자 경화유에 비해 혈청 콜레스테롤과 혈청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며,[4] 우지나 참기름에 비해 항혈전 효과나 세포막 유연성 유지 면에서 좋지만, 들기름보다는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존재한다.[5]

중성지방 구조

동물성 지방의 포화지방산은 거의 대부분 triacylglycerol의 sn-2 위치에 있지만, 팜유의 중성지방 구조를 보면, 포화지방산은 sn-1과 sn-3에, 불포화지방산은 거의 대부분(75-87%) sn-2에 위치하고 있다. Triacylglycerol의 sn-1, sn-3 위치의 포화지방은 sn-2에 위치한 포화 지방과 체내 흡수 정도가 다르며, Sn-1, 3 지방산보다 sn-2 위치의 지방산이 흡수율이 좋다. 따라서 팜유는 동물성 지방과는 지방산 위치 구조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체내 흡수도 다르다.[6][7]

식품 산업 활용

팜유는 다른 식물성 유지와 비교하여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낮아 2~4배 높은 산화안정성을 갖고 있어 제조, 유통 과정 중 쉽게 산패되기 어렵고 매우 안정적이다. 식물성 유지이므로 본래는 트랜스지방콜레스테롤이 없으나, 체내의 콜레스테롤 합성을 조장하는 포화지방산 함량이 다른 식물성기름(올리브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등)보다 높아 콜레스테롤의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항산화 성분인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및 카로틴 등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8] 토코트리에놀의 경우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저해하고, 혈소판 응집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9] 팜유는 전세계 생산량 1위로 수급이 안정적이며, 튀김 기름에 적합한 발연점과 고소하고 담백한 맛으로 식품 가공 시 제품 본연의 맛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산업에 널리 쓰이고 있다.[10] 팜유는 주로 라면, 과자, 식용유 등에 쓰여진다.[11]

속성

식물성 기름의 성분[12][13]
유형가공
처리[14]
포화
지방산
단일불포화
지방산
고도불포화
지방산
발연점
전체[12]올레

(ω-9)
전체[12]α-리놀렌

(ω-3)
리놀레

(ω-6)
ω-6:3
비율
아몬드
아보카도[15]11.670.652-66[16]13.5112.512.5:1250 °C (482 °F)[17]
브라질너트[18]24.832.731.342.00.141.9419:1208 °C (406 °F)[19]
카놀라[20]7.463.361.828.19.118.62:1238 °C (460 °F)[19]
캐슈나무
치아씨
카카오 버터 기름
코코넛[21]82.56.361.7175 °C (347 °F)[19]
옥수수[22]12.927.627.354.715858:1232 °C (450 °F)[23]
면실[24]25.917.81951.915454:1216 °C (420 °F)[23]
아마씨[25]9.018.41867.853130.2:1107 °C (225 °F)
포도씨 10.514.314.3  74.7-74.7매우 높음216 °C (421 °F)[26]
삼씨[27]7.09.09.082.022.054.02.5:1166 °C (330 °F)[28]
우라드콩
겨자기름
올리브[29]13.873.071.310.50.79.814:1193 °C (380 °F)[19]
[30]49.337.0409.30.29.145.5:1235 °C (455 °F)
땅콩[31]20.348.146.531.5031.4매우 높음232 °C (450 °F)[23]
피칸 기름
들기름
겨기름
잇꽃[32]7.575.275.212.8012.8매우 높음212 °C (414 °F)[19]
참깨[33]?14.239.739.341.70.341.3138:1
[34]부분 경화14.943.042.537.62.634.913.4:1
[35]15.622.822.657.77517.3:1238 °C (460 °F)[23]
호두기름
해바라기씨 (표준)[36]10.319.519.565.7065.7매우 높음227 °C (440 °F)[23]
해바라기씨 (< 60% linoleic)[37]10.145.445.340.10.239.8199:1
해바라기씨 (> 70% oleic)[38]9.983.782.63.80.23.618:1232 °C (450 °F)[39]
면실[40]경화93.61.50.60.20.31.5:1
[41]경화88.25.70
영양 수치는 총 지방 무게 당 백분율(%)로 표현된다.


생산

팜유 생산 지도 (2013년)

같이 보기

참고 자료

각주